![]() | ||
의료법상 병원 광고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소위 ‘입소문’을 빙자해 곳곳에서 사람들을 모집하고 이들이 수술을 받으면 수술비의 얼마를 커미션으로 받는 구조이다. 부동산 쪽도 물론이다. 돈을 주면 재개발 입주권을 받아주겠다는 제안도 심심치 않게 이뤄진다.
심지어 ‘의료사고 브로커’까지 있는 실정이다. 이들은 피해자를 대신해 병원 앞에서 시위를 하고 합의를 유도하고 합의금의 일부를 받아 챙기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들은 스스로가 ‘브로커’라고 불리는 것은 그리 달가와 하지 않는다. 나름대로는 일종의 ‘로비스트’ 개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브로커든 로비스트 든 국내에서는 이들 명칭에 대한 이미지 역시 좋지 않기 때문에 그들은 컨설팅사나 투자사, 관변 단체의 임원을 자처하고 나선다.
명함도 그럴 듯하게 만들어가지고 다니며 옷은 양복이 기본이다. 거기에다가 고위층에 접근하기 위해서 대학의 특수전문대학원에 들어가기도 한다. 그곳은 특별히 시험이 필요 없이 학비만 내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그곳에 있는 사람들과 인맥을 맺고 또한 이를 통해서 후광도 얻는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에서 이렇게 브로커가 많이 활동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고려대 평화연구소 조승민 연구원은 이에 대해 “▶정책 결정 과정이 투명하지 않고, ▶정보가 불균형적으로 몰리며, ▶사회 시스템이 복잡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바로 이러한 토양들이 브로커가 활동하기에 제일 좋은 ‘안식처’라는 이야기다. 이는 총체적으로 ‘한국 사회의 불투명성’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한국 사회가 투명해지지 않은 한 앞으로도 브로커들의 활동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