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신고리5·6호기 건설허가 취소소송 착수 '국민소송단 모집'

김청현 기자 / 기사승인 : 2016-08-18 13:33:26
  • -
  • +
  • 인쇄
▲ ⓒNewsis
[일요주간=김청현 기자]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를 상대로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 취소 소송을 진행한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18일 부산 YWCA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를 상대로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 취소 소송을 진행할 것"이라며 "또 우리나라 국민이면 누구나 원고가 될 수 있는 국민소송단을 9월8일까지 공모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린피스는 “원안위가 고리 원전 단지의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신규 원전 추가 건설 허가 요건을 갖추지 못했는데도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승인했다”며 “이는 분명한 위법행위라고 판단해 소송을 추진키로 했다”고 소송배경을 밝혔다.

신고리 5·6호기는 고리 원전 단지의 9번째, 10번째 원전으로 지난 6월23일 원안위에서 건설이 허가됐다.

이에 따라 운영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착공에 들어가 2021년 3월 신고리 5호기, 2022년 3월 신고리 6호기를 각각 준공할 계획이다.

그린피스는 부산과 울산에 걸쳐있는 고리 원전 단지는 ▲고리 원전 단지는 전세계 188개 원전 단지 중 최대 규모이며 원자로 밀집도도 가장 높고 ▲원전 30㎞ 인근에 380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고 경제 핵심시설이 다수 위치해 있으며 ▲지진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에 위치해 고리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국가적 재난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김미경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고리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이에 합당한 위험성 평가가 필요하고 특히 개별 원전만이 아닌 여러 개의 원전이 자리한 부지 전체에 대한 통합 위험성 평가가 필수적인데도 이를 수행하지 않은 것은 원안위의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또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전 계획된 신고리 5·6호기는 건설허가 심의 과정에서 후쿠시마 이후 높아진 시민들의 원전 위험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피스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부산 시민의 과반수가 원전 추가 건설에 반대하고 있고 건설허가 전에 이 문제에 대해 신중하게 재검토 해야 한다는 시민사회 및 정치권의 요구를 무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소송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김영희 변호사(탈핵법률가모임 해바라기 대표)는 “▲원전 건설허가의 요건인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서 법에서 요구하는 중대사고 영향평가를 하지 않았고 ▲확대된 방사선비상계획구역(22~30㎞)내 주민 의견수렴을 거치지 않았으며 ▲인구밀집지역 위치제한규정 위반 ▲지진과 사용 후 핵연료 저장조의 위험성도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 소송의 주요 쟁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소송단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부산 시민 곽경래(39) 씨는 “안전은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것”이라며 “지금까지 설마 설마 하다가 되돌릴 수 없는 재앙이 많았고 더 이상 되풀이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린피스는 국민소송단을 모집 후 소송대리인들과 함께 소송가능기한인 9월23일까지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다.

한편 그린피스는 1971년 캐나다에서 시작된 국제환경단체다.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나 기업으로부터 후원을 일절 받지 않으며 오로지 개인후원자와 독립재단의 기부로만 운영된다. 현재 전세계 55개국에서 기후에너지, 해양보호, 삼림보호, 독성물질제거, 북극보호, 건강한 먹거리 등 여섯 개 캠페인을 전개 중이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2011년 설립되었으며 현재 기후에너지와 해양보호, 독성물질제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