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2인자’ 이인원 부회장 자살, 신동빈 사수 위한 꼬리자르기?

박은미 / 기사승인 : 2016-08-26 18:06:15
  • -
  • +
  • 인쇄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좌), 이인원 롯데그룹 부회장(우) ⓒ뉴시스
[일요주간=박은미 기자] ‘리틀 신격호’라 불리던 이인원 롯데그룹 부회장(69)이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했다. 이 부회장은 검찰 조사를 앞둔 지난 26일 경기도 북한강변 산책로 벚나무에 목을 매달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롯데그룹 비자금 수사를 앞두고 심리적 압박을 받아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게 중론이다.

이로써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턱 밑까지 겨눴던 검찰의 칼날이 무뎌질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이 부회장은 총수 일가의 경영활동 보좌 및 자금관리를 비롯한 90여개 계열사의 모든 경영 사항을 꿰뚫고 있던 인물로, 이 부회장에 대한 필수적인 조사가 이뤄져야만 검찰이 신 회장을 비롯한 롯데 오너일가를 본격적으로 겨냥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이 부회장의 자살로 인해 신 회장 소환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가 끊겼다는 게 재계의 시각이다.

이 부회장의 자살을 둘러싸고 수사 종결을 위한 꼬리짜르기가 아니냐는 의혹도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부회장이 유서에 "롯데그룹 비자금은 없었다"는 내용을 친절히 적은것은 수사 자체가 더 이상 진전되지 않게 하기 위함으로 분석된다. 이 부회장에 대한 혐의도 '공소권 없음'으로 끝나게 될 테니 롯데 그룹이 부담을 더는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이 사건을 바라본 국민들의 시선은 어떠할까. 이 부회장의 자살에 대한 외압설, 타살설 등 갖은 의혹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내부자들’의 실사판이라는 여론도 나왔다. 비자금 사건에 얽힌 전 은행장이 검찰 수사 도중 스스로 목숨을 끊는 내용인 ‘내부자들’을 본 국민들로서는 데자뷰를 느꼈을 법도 하다.


신동빈 수사, 촤조 위기

이인원(69) 부회장이 검찰 소환조사를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정점으로 치닫던 롯데그룹 수사에 차질한 상황이다. 검찰은 이 부회장이 그룹 2인자로 불리는 만큼 그룹의 주요 결정 과정에 개입한 것으로 보고 이날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할 것을 통보한 상태였다.

특히 검찰은 이 부회장의 횡령·배임 혐의를 포착하고 관련 부분을 집중 추궁할 예정이었다. 각 계열사가 조성한 비자금이 그룹 정책본부로 흘러들어 갔는지, 정책본부로 흘러들어간 자금이 어떻게 사용됐는지 등도 확인할 예정이었다.

그룹내 2인자인 이 부회장 사망으로 롯데그룹 차원에서 조성한 비자금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정책본부로 유입됐는지 확인하는데 차질이 생기는 한편, 신동빈(61) 회장 등 롯데그룹 오너 일가에 대한 수사 일정 자체도 전면 재수정될 것이다.

검찰은 당초 황각규 롯데쇼핑 사장에 이어 이 부회장 등을 조사한 후 총수 일가의 비자금 조성 혐의 등에 대해 구체화하려는 계획이었다. 신 회장을 비롯해 신동주(62)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 신격호(94) 총괄회장의 셋째 부인인 서미경(57)씨 등이 그 대상이다.

하지만 이 부회장이 사망함에 따라 9월 초 신 회장을 불러 조사한다는 계획 등이 모두 올스톱 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도 당초 계획대로 수사를 진행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하고 추석 연휴까지 수사를 중단하는 방안 등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롯데 오너 일가에 대한 검찰의 수사 마무리 시점 자체도 늦춰질 수 밖에 없다. 애초 검찰은 신 회장의 소환 조사 등을 끝으로 9월 중 그룹 비리 관여자들을 일괄 기소할 계획이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