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남동발전·서부발전 신임 사장, ‘TK 독식’ 논란

장혜원 / 기사승인 : 2016-11-11 11:56:45
  • -
  • +
  • 인쇄
▲ @뉴시스

[일요주간=장혜원 기자]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한국남동발전, 한국서부발전 등 발전 공기업 3개사 신임 사장에 대구·경북(TK) 출신 인사들이 사실상 낙점돼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관련 부처와 업계 등에 따르면, 한수원과 남동발전, 서부발전은 8일 주주총회를 열어 신임 사장으로 이관섭(55) 산업통상자원부 전 제1차관, 남동발전은 장재원(57) 한전 전력계통본부장, 서부발전은 정하황(60) 전 한수원 기획본부장을 내정자로 선임했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제청으로 대통령에 의해 해당 기관장에 임명되는 마지막 절차가 남아 있지만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이들이 사장직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결과를 발표한 이후 내려진 결정이라 사실상 확정됐다고 봐도 무방하다.

앞서 기획재정부 공운위는 지난 4일 각 사 사장 추천위원회가 올린 3배수 후보군 중 1, 2순위 후보를 선정했다.

▲ 이관섭 한수원 신임사장. 장재원 남동발전 신임사장. 정하황 서부발전 신임사장.

이관섭 전 차관은 1961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경북고·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27회로 공직에 입문해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등을 역임하고 20147월부터 올해 8월까지 산업부 1차관으로 봉직했다.

장재원 본부장은 1959년 대구 출생이다. 경북고·서울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했다. 전력 분야 명문대로 꼽히는 미국 렌셀러폴리테크닉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전에서 송변전건설처장을 지내고 지난해 3월부터 현직을 수행하고 있다.

정하황 전 본부장은 1956년 대구 출생이다. 대구 계성고·중앙대 행정학과·고려대 경영대학원(석사)를 졸업했다. 한전 기획처장, 대외협력실장 등을 거친 뒤 한수원으로 자리를 옮겨 기획본부장으로 봉직했다.
정권 말기 공공기관장 막차?
문제는 이들 세 사람 모두 대구 출생이라는 사실이다.

또 다른 문제는 출신 고등학교다. 이 전 차관과 장 본부장은 경북고 선후배 사이다. 이 고교는 박근혜 정부에서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한 한 여권 유력 정치인의 모교이기도 하다.
이뿐만 아니다.

이 전 차관은 차관을 그만두고 불과 2개월 만에 굴지의 공기업 수장으로 유력시되고 있다. 이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산업부 차관 출신 중 상당수가 '관피아 방지법(공무원의 민간 재취업을 제한하는 공직자윤리법)' 영향으로 재취업하지 못한 것과 대조적인 경우다. 특혜 시비가 이는 이유다.

장 본부장은 본부장 기본 임기 2년을 아직 못 채운 상황에서 자회사 사장 응모를 위해 사퇴하는 것이어서 그 짧은 기간 CEO 역량을 제대로 기를 수 있었겠느냐는 의문이 따라붙는다.

정 전 본부장은 여권의 한 유력 정치인과 같은 학교는 아니지만 그의 가까운 인척과 친구 사이로 알려졌다. 또한 그는 앞서 임명된 한국산업단지공단 강남훈(55) 이사장과 함께 대구 계성고를 나왔다. 최순실 게이트 관련 직권 남용 등 혐의로 지난 6일 구속된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 수석이 이 학교를 졸업했다.

더 나아가 일각에서는 이들을 두고 '전문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같은 발전 공기업이라고 해도 역할과 성격이 모두 다른데 발전사 출신이라고 전문성을 갖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는 주장이다.

특히 관료 출신에 대해서는 더욱 의구심을 제기한다.

바른사회시민회의 김영훈 경제실장은 "관피아 방지법, 각 공공기관 내 임원추천위원회 등 제도가 마련됐지만 많은 허점으로 제구실을 못 하면서 인사철마다 낙하산 인사, 지역 편중 인사 논란이 되풀이 하고 있다"면서 "정권 말기 공공기관장 막차를 타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한 만큼 보은 인사, 정실 인사를 뿌리 뽑겠다는 임면권자의 강력한 의지가 필요한 때다"고 짚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민의 당 간사인 손금주 의원은 "지역 편중성 인사는 국민 통합을 역행하며 국론 분열을 일으킨다. 전문성이 결여한 낙하산 인사는 해당 공공기관의 경영효율성을 저하하고 종사자의 사기를 저하한다""반드시 바로 잡아야 할 구태"라고 지적했다.
발전 3사 신임사장 임명 속도 왜?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정부가 신임 사장 임명을 갑자기 급속하게 진행했다는 점이다. 공운위는 4, 각 사 주총은 8일인데 주말인 5~6일 이틀을 빼면 불과 이틀 만에 주총을 연 셈이다.

물론 공공기관장 업무 공백 우려가 큰 것도 사실이다. 이들 3개사 전임 사장은 모두 지난 9월 하순 임기가 종료됐다.

그러나 그간 박근혜 정부가 많은 공공기관에서 임기를 마친 기관장 후임 인사를 하지 않은 채 몇 개월씩 대행 체제를 지속해 보은·낙하산 인사를 위해 일부러 지연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던 것과 대조적이다.

만일 거국중립내각이 구성돼 박근혜 대통령이 2선으로 후퇴하는 것을 대비해 특정 세력이 대형 공공기관 수장 자리 선점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민의당 간사인 손금주 의원은 "국정 공백 상황에도 공기업 임원에 대해 여전히 끼리끼리 지역 편중 인사를 강행하는 것은 박근혜 정부가 국민 분노와 현 상황의 엄중함을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총리, 경제부총리, 국민안전처장관 등에 호남 또는 참여정부 인사들을 지명한 것이 실상 국면전환용에 불과하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