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까지 전국 시내버스 42% 저상형으로…'휠체어 탑승' 고속·시외버스 개발

이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17-02-14 09:40:59
  • -
  • +
  • 인쇄

[일요주간=이수근 기자] 오는 2021년까지 전국 시내버스 10대 중 4대가 저상버스로 바뀌고, 휠체어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고속·시외버스도 개발된다.

14일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3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을 확정·고시했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2021년까지 전국 시내버스의 42%(서울 65%, 광역시 45%, 9개도 32%)가 저상버스로 바뀐다. 장애인을 위한 특별교통수단(장애인 콜택시) 법정보급대수는 전 지자체 100%달성을 목표로 정했다. 장애인 콜택시 법정 도입대수는 1·2급 장애인 200명 당 1대다.

교통약자가 버스·철도·항공기 등 교통수단과 여객자동차터미널·역사·공항터미널 등 교통시설을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편의시설 기준 적합 설치율도 상시킨다. 일반버스의 경우 전자문자안내판, 자동안내시설 등을 확충해 기준 적합 설치율을 82%까지 향상시키고 저상버스, 철도차량, 항공기 등은 현 상태 유지를 위한 관리를 통해 기준 적합 설치율 90% 이상을 유지한다.

여객자동차터미널의 경우 점자블록 등 유도·안내시설, 위생시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확충해 기준 적합 설치율을 73%로 향상시키고, 도시철도 및 전철역사, 철도역사, 공항여객터미널은 기준 적합 설치율 90% 이상을 유지한다.

특히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고속·시외버스 표준모델을 2020년까지 개발하는 한편, 농어촌 지역 및 소규모 마을 운행이 가능한 중형 저상버스 표준모델 개발 연구를 올해 내 완료 후 2019년부터 상용화한다.

또한 시·군 경계 구분 없이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지원시스템을 2019년까지 개발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장애인 단체, 노인 단체 등 교통약자 관련단체의 의견 수렴 및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계획의 사후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