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등 자동차 결함 피해자들 간담회 열어 피해 사례 공유

홍성완 / 기사승인 : 2017-02-22 17:24:33
  • -
  • +
  • 인쇄
박용진 "나도 트라제XG 급발진 사고 피해자"
▲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 사진 가운데)은 22일 오전에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 ‘자동차 결함 피해자 제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일요주간=홍성완 기자] 국내 자동차 결함 피해자들이 한데 모여 간담회를 갖고, 서로 간에 피해 사례 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은 22일 오전에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 ‘자동차 결함 피해자 제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박 의원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한국소비자원,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담당 관계자들과 부산 싼타페, 팔공산 갓바위 싼타페 피해자 등 실제 자동차 결함 피해자, 공익제보다 10여명 등이 참여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이날 현대자동차 등 자동차 제조사 관계자도 비공식적으로 참석했다.


박 의원실 관계자는 “현대차에서도 간담회 장소에 상무, 과장 대리 등을 보내 내용을 사실상 염탐하도록 했다”며 “대리는 간담회 내용에 대해 꼼꼼히 필기하고 발표 자료에 대한 사진까지 찍어갔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박 의원은 “나도 2013년 아내가 트라제XG를 운전하다 급발진 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면서 “평소 엔진 RPM이 올라가는 등 이상 징후가 나타났었는데, 결함인지 모르고 사고가 난줄로만 알았다가 이번에 결함목록을 보니 포함돼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에는 아내에게 오히려 운전에 부주의한 것 아니냐고 질책했는데, 나는 나쁜 남편이었던 것”이라며 관련 비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부산 싼타페 사고 운전자 한씨의 유가족 최모씨는 “국과수 관계자가 ‘국과수는 결함조사 장비가 기술진이 없는데, 현대차는 있다’고 했다”며 “마치 의료사고를 당했는데 가해 의사에게 부검을 시키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고에 대해 차량 제조사의 개입은 당연시 여기고 피해자가 선임한 변호사 및 전문가 초빙에는 반대했다”며 “다양한 전문가들이 투입돼 공정한 감정이 내려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최씨는 “현대차는 막대한 돈을 쏟아 부어 결함의심 사고를 방어하는데 돈 없고 시간이 없는 서민들은 기댈 곳이 없다”며 “소비자를 도와줄 수 있는 기관이나 조사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팔공산 갓바위 싼타페 피해자 권모씨는 “현대차 사고기록장치(EDR) 분석자 담당자의 연락처를 알려 달라 하니 내부 기밀사항이라 외부에게 절대 알려줄 수 없다며 거부했는데 뭔가 숨기는 느낌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대차는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운전자 잘못으로 몰아세우는데 내가 운전 경력만 23년”이라며 “차가 튕겨나가는데 브레이크를 밟지 않겠나? 현대차가 무조건 잘못을 덮어놓으려 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국가 기관이 소비자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며 “장비가 없고 인력이 없어서 차량 결함 조사를 자동차사에 의존하는 현 상황이 개탄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와 가습제 사고 등이 모두 국가기관의 관리 감독 소홀에서 일어났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 외에 사례발표자와 공익제보자 등은 현대차의 도덕적해이와 정부의 무능에 대해 한 목소리로 질타하기도 했다.


한편, 박용진 의원은 다음달 7일 경실련,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 등과 ‘자동차결함 리콜 문제’와 관련해 법을 제정하기 위한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