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륜역 도보권, 동래구 학군, 편의시설 등 풍부
[일요주간=하수은 기자] 포스코건설이 부산 동래구 온천동 455-2 일대에 최고 49층의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동래 더샵’ 분양을 나섰다.
중소형으로 설계된 동래 더샵(지하 6층~지상 49층)이 들어서는 인근에는 교통, 교육, 생활편의시설, 공원 등이 잘 갖춰져 있어 전통적으로 주거선호도가 높은 지역이라는 점 때문에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동래 더샵은 부산지하철 1호선 명륜역이 도보권에 위치한 역세권 아파트인데다 부산을 관통하는 중앙대로도 단지 앞에 있어 시내?외곽으로 이동이 편리하다. 온천초, 동래중, 유락여중, 동래고, 대명여고, 부산대학교, 부산교대가 가까이에 있는 등 부산을 대표하는 동래 명문학군에 포함돼 있는 것도 강점이다.
자연친화적인 주거 환경도 눈에 뛴다. 단지 주변으로는 부산시민의 쉼터인 금정산이 있어서 주변 경관이 좋고, 등산은 물론 가벼운 산책과 운동시설 등을 이용하기도 쉽다.
동래 더샵은 3개 동 아파트 전용면적 74~84㎡ 603가구다. 전용면적 별로는 74㎡ 94가구, 84㎡ 509가구 등 전 가구 중소형 물량이다. 92실로 구성된 오피스텔은 전용면적 64㎡ 단일 평형이며 소형아파트를 대체할 상품으로 꾸몄다.
이 같은 높은 관심도를 반영하 듯 지난달 12일 진행된 1순위(당해) 청약접수에서 9.99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청약 접수를 마감했다. 청약접수 결과 5개 주택형, 아파트 429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총 2363명의 청약접수자가 몰려 평균 5.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는 게 포스코건설의 설명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동래 더샵은 평면 설계도 돋보인다"며 "전용면적 74㎡과 84㎡A, 84㎡B 타입은 전면에 방이 3개소가 배치되는 4베이 구조다. 드레스룸, 다용도실 등의 공간을 통해 실사용 면적을 넓혔고, 팬트리 등 수납공간도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가구별 특화설계가 적용돼 층고가 기존 아파트보다 10cm 높은 2.4m, 거실 우물천정의 경우 15cm가 높은 2.55m로 설계됐다"며 "아파트의 경우 다이닝 주방장, 일부 타입의 경우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드레스룸이 설치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최첨단의 스마트 시스템도 적용된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8월 포스코ICT(아이씨티), 카카오와 ‘더샵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으로 제공하는 카카오아이를 동래 더샵에 적용할 예정이다.
분양 관계자는 “온천동은 주거선호도가 높은 전통적인 부촌으로,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재건축, 재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브랜드 새 아파트 촌으로 빠르게 탈바꿈하고 있다”며 “포스코건설은 동래구 내 첫 진출 사업인 만큼 브랜드 위상에 걸맞은 동래구 일대 최고 높이의 ‘랜드마크’ 단지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건설 ‘더샵’은 지난달 18일 열린 ‘2018년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아파트 부문 1위 수상으로 10년 연속 1위를 기록하며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이외 한국소비자포럼 2018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아파트 부문에서 2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한 인기 브랜드 아파트로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더샵은 부산에서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아파트로 손 꼽힌다. 해운대 엘시티 더샵, 더샵 센텀포레, 더샵 센텀파크 등 부산의 랜드마크를 세워오면서 브랜드 프리미엄의 가치를 입증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부산 덕포동 중흥S클래스 건설현장서 화재 발생...검은 연기 치솟아 [제보+]](/news/data/20220901/p1065590204664849_658_h2.jpg)
![[포토] 제주 명품 숲 사려니숲길을 걷다 '한남시험림'을 만나다](/news/data/20210513/p1065575024678056_366_h2.png)
![[포토] 해양서고 예방·구조 위해 '국민드론수색대'가 떴다!](/news/data/20210419/p1065572359886222_823_h2.jpg)
![[언택트 전시회] 사진과 회화의 경계](/news/data/20210302/p1065575509498471_939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