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기업 재생에너지 의무사용 확대, 국내기업에 영향

박민희 기자 / 기사승인 : 2018-11-02 11:50:56
  • -
  • +
  • 인쇄

[일요주간=박민희 기자] 글로벌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의무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국내 기업에 대한 재생에너지 100% 사용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국내 환경의 여건상 어려움이 많아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개편 정책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3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입법검토보고서를 입수해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한 글로벌 기업들이 국내 기업에 재생에너지 활용을 요구한 사례와 그 현황 등이 담긴 내용을 공개했다.


‘RE100 이니셔티브’는 다국적 비영리단체인 기후그룹이 처음 제기한 것으로 기업이 공장, 사무실, 건물 등에 필요한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100% 사용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현재 글로벌 기업 가운데 지난 10월 기준 구글, 애플, 제너럴모터스(GM), 이케아 등 154개 기업들이 가입한 상태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다국적 비영리단체인 기후그룹(The Climate Group)은 지난 2014년 뉴욕시 기후주간 행사에서 기업의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100%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해 “RE100 이니셔티브의 시작”이라고 진단했다.


구글, 애플, GM, IKEA 등 글로벌 기업들이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해 공장, 사무실, 건물 등 자신의 영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100% 사용하겠다는 방침을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김 의원은 지난달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문위원 입법검토서를 인용해 RE100에 참여한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국내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한 제품의 납품을 요구받고 있다고 밝혔다. 재생에너지 활용을 요구받은 기업은 SK하이닉스, 삼성엔지니어링, LG전자, LG화학, 한국타이어, 네이버, 삼성SDI 등이다.


이들 기업은 공급처인 애플사나 삼성전자, BMW로부터 납품업체에 대해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것을 요구받고 있으나 한국의 기업들은 재생에너지를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과 환경이 구축돼있지 않아 열악한 여건으로 일부 기업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 22일 국정감사 당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지 않으면 국내 제조업의 심각한 위기가 도래할 것”이라며 “그런데 대한민국은 재생에너지에 대해 비생산적이고 소모적인 논쟁에 빠져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의 속도를 더 진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기업이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구매할 수 있는 법안이 발의돼 국회에 계류중에 있으나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입법검토서에는 이 같은 계획은 현 전력시장 체계상 어려운 과제라고 평가돼 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정부의 전력공급체계의 개편 정책이 수반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해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