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지역 17개시민사회단체 '진주대첩기념광장 조성위원회' 즉각해체 기자회견 가져

정병기 / 기사승인 : 2017-08-30 01:33:40
  • -
  • +
  • 인쇄
▲ 진주지역 17개 시민사회단체들(이하 진주시민단체)이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진주시의 들러리에 불과한 '진주대첩기념광장 조성위원회'를 즉각 해체를 요구하고 나섰다.(사진=정병기 기자)

[일요주간=정병기 기자]진주지역 17개 시민사회단체들(이하 진주시민단체)이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진주시의 들러리에 불과한 '진주대첩기념광장 조성위원회'를 즉각 해체를 요구하고 나섰다.


진주시민단체는 “역사진주시민모임'의 기자회견 이후 반박 기자회견을 통해 지하 주차장 건설을 둘러싼 논란에 시 집행부 입장을 일방적으로 대변한 행태는 '진주대첩기념광장 조성위원회'가 시 집행부의 들러리에 불과하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 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진주시민단체는 “진주시가 구성한 위원회에는 권한 있는 기관인 시 집행부와 지방의회가 빠져 있다”면서 “이 위원회는 매장 문화재 전문가도 없고,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전문성도 담보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진주시민단체는 “위원회가 전문성을 갖추지도 않은 점, 위원회의 대 다수가 관변단체들로 구성돼 공정성이 결여된 점”등을 들며 구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역사, 문화 관련 단체의 구성도 역사진주시민모임, 형평운동기념사업회, 진주문화연구소, 진주문화사랑모임 등과 같이 진주의 역사와 문화를 지키고 가꾸는 데 크게 기여한 단체 소속 위원은 한 사람도 없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낳게 한다”고 주장했다.


'진주대첩기념광장 조성위원회' 강신웅 위원장은 반박자료를 내고 “진주대첩광장 조성위원회 자체가 민간협치기구인데 또 무슨 민관협치기구가 필요하다 말입니까?”라고 반문하고, “진주참여연대 및 시민사회단체, 역사모임등은 외곽에서 비판만 하지 마시고 전문가를 추천하여 열려 있는 우리 진주대첩광장 조성위원회에 들어와서 토론과 많은 의견이 개진 될 수 있도록 당부 드린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강 위원장은 언론사 관계자 참여가 부적정하다는 주장에 대해 “진주를 대표하는 방송 및 언론사 관계자가 참여하여 진주대첩광장 조성에 대하여 현안 사항을 정확하게 보도하는 역할과 홍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의견도 덧 붙쳤다.


끝으로 강 위원장은 “진주대첩광장 조성위원회는 진주대첩광장 조성에 관한 시민의견 반영과 발전방향을 제시하여 대첩광장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도록 노력 할 것이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