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에 세 번째 韓美 정책금리 역전…외국인 채권, 주식 투자는 증가세"

노현주 기자 / 기사승인 : 2018-03-22 17:21:23
  • -
  • +
  • 인쇄

[일요주간=노현주 기자] “3월 FOMC에서 연준이 정책금리를 1.50~1.75%로 인상해 2007년 8월 이후 10년 7개월 만에 한미 정책금리가 세 번째로 역전됐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22일 최근 한미 금리와 관련 “과거 금리 역전 시의 외국인 주식과 채권 자금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자본유출 가능성은 있지만 국내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줄 정도는 아니며, 최근 외국인의 자본 유출입은 금리차 외에도 다른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이 같이 판단했다.


이어 “금융위기 이후 연준의 제로금리 정책 등으로 한미 정책, 시장 금리차가 계속 축소됐지만 외국인의 채권, 주식 투자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단순 금리차 외의 변수들도 외국인 자본 이동에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자본이 유출됐다고 할 수 있는 금융위기, 테이퍼 탠트럼, 미 금리인상 시작 전후 시기에는 한국뿐 아니라 신흥국 대부분에서 자금이 이탈되어 단순 한미 금리차가 원인이라고 하기는 어렵다”며 “오히려 한국은 국가신용등급이 상향되고 원화가 상대적으로 견조한 양상을 보이면서 자본 이탈로 인한 금융시장 및 경제의 충격은 제한적이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2016년 11월 트럼프 대통령 당선 후에도 미 금리, 달러 상승으로 자본 유출 우려가 제기됐지만 2017년 원화가 강세를 보이며 외국인은 국내 채권, 주식을 매수했다”며 “증가하던 외국인 채권 잔고는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으로 감소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어 “금리 역전이 확대되고 장기화될 시에는 자본 유출 우려도 커지겠으나 자본 유출은 실제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순 금리차뿐만 아니라 환전비용, 수수료 등도 감안돼야 한다”며 “중앙은행, 연기금 성격의 투자자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AA)이 안정적인 가운데 같은 등급 대비 상대적으로 금리 수준이 높아, 소버린 이벤트 발생 같은 경우 외에는 대규모로 이탈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자본유출에 대한 최후의 보루로 인식되는 외환보유액도 금융위기 이후 증가하고 있고, 단기외채는 감소하고 있다. 한국이 2015년 이후 순채권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도 자본유출 시 건전성 우려를 제한할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