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황성달 기자]일본 방사능 오염지역의 수산물 수입 문제가 다시금 불거진 가운데 수협공판장의 수입수산물 취급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나 우려를 낳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민주당 의원이 수협중앙회로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 30% 수준이던 수협공판장의 수입수산물 취급 비중이 올해 8월 현재 40%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14년부터 현재까지 수협공판장에서 취급한 수입수산물은 물량으로는 8만8230톤, 금액으로는 3110억원에 달한다. 특히 수협의 수입수산물 취급은 최근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데서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수협이 수협법상의 설립 취지에 따라 어업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과 어업 경쟁력 강화를 도모해야 함에도 수입수산물 판매상으로 전락한 것 아니냐는 비판마저 제기된다.
위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수협공판장의 수입수산물 취급 규모는 2014년 2만2766톤(781억8600만원), 2015년 2만6274톤(891억7000만원), 2016년 2만2612톤(831억8800만원)이다. 물량으로는 각각 31.2%, 37.5%, 36.9%, 금액으로는 각각 30.3%, 36.1%, 36.0%의 비중을 차지했다.
수협공판장의 전체 수산물 취급규모는 각각 2014년 7만2978톤(2576억3500만원), 2015년 7만37톤(2472억4000만원), 2016년 6만1249톤(2311억8400만원)이다.
특히 올해는 8월까지 취급한 전체 수산물 3만9818톤(1514억2500만원) 가운데 수입수산물이 1만6578톤(604억5600만원)을 차지하며 물량으로는 41.6%, 금액으로는 39.9%까지 증가했다.
수협은 어획량 부족에 따른 국내산 공급 감소가 원인이라고 설명하지만 연도별 상위 취급품목을 살펴보면, 국내 주요 어획종이자 정부비축 품목인 명태, 갈치, 고등어 등이 포함돼 있다. 국내 수산물의 위판가격 하락 등 부작용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특히 수협이 운영하는 바다마트 등 판매장의 수입수산물 판매 비중 역시 2014년 2.2%에서 올해 8월에는 5.6%까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위성곤 의원은 “수협의 수입수산물 취급·판매는 어민들이 생산한 국내생산물의 판로 촉진이라는 애초의 설립취지와 크게 어긋난다”며 “제도적인 수입수산물 취급 제한 등 수협의 정체성 회복과 어민이익 극대화를 위해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