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비리 의혹' 그 끝은? 베트남 이어 브라질서도 비자금 의혹...포스코 "회사는 모르는 일"

김슬기 / 기사승인 : 2015-09-08 14:56:02
  • -
  • +
  • 인쇄
포스코 측 "공식 수사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답변
[일요주간=김슬기 기자] 포스코 비자금 의혹을 정조준하고 있는 검찰의 칼 끝이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지난달 검찰은 하청업체로부터 거액의 뒷돈을 받은 포스코건설 건축 분야 임원인 상무 김모(55)씨와 전무 여모(59)씨를 구속기소하고 재판에 넘겼다. 이 사건의 핵심인물로 지목받고 있는 정준양 전 포스코 그룹 회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을 앞두고 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에 대한 수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브라질 검찰이 포스코건설 현지 법인의 비리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는 한 매체의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포스코건설이 베트남에서 100억 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포스코를 겨냥한 검찰의 수사가 시작됐다는 점에서 이번 브라질 현지 포스코건설 비리 의혹이 새삼 주목받는 이유다.

지난 4일 <뉴스타파>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검찰이 최근 브라질 제철소(CSP) 공사 과정에서 세금을 탈루하고 외화 밀반출 의혹에 대해 포스코건설과 하청업체 5개 회사를 대상으로 수사에 착수했다.

이런 사실은 브라질 연방 경찰 문서를 통해 확인됐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지난 6월 말 브라질 쎄아라주 연방 경찰이 일선 경찰에 보낸 문서에 따르면 연방 경찰은 포스코 하청업체인 브라코(BRACO) 건설사의 책임자가 한국인 근로자들의 급료를 브라질 노동부에 적게 신고하고 나머지 큰 차액은 한국으로 불법 송금한 사실 등 형사 소송법 제 22조에 의거한 외화 밀반출 혐의와 형사소송법 제 1조에 의거한 조세 탈루 혐의에 대해 초동 수사를 진행할 것을 일선 경찰에 지시했다.
▲ <뉴스타파>는 지난 4일자 보도에서 브라질 현지 검찰이 포스코건설 현지 법인을 상대로 횡령 등의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사진은 보도 내용을 캡쳐한 화면이다.

이번 수사는 포스코건설의 토목협력업체인 브라코(대표 박정근)가 올 초 원청인 포스코건설을 상대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한 게 단초가 됐으며 브라코 측은 브라질 현지 검찰에 수사를 요청하며 포스코의 외화밀반출, 탈세, 횡령 등의 의혹을 제기했다.

박정근 브라코 대표는 <뉴스타파>와의 인터뷰에서 “포스코건설은 하청업체 직원들의 임금을 브라질 정부에 허위 신고한 뒤 환치기 수법으로 한국에 보내 세금을 탈루하는 데 관여했다”고 주장했다.

또 박 대표는 포스코가 사실상 관리해 온 브라코 법인계좌서 갑자기 행방이 묘연해진 100억 원을 찾아달라고 브라질 검찰에 요청했으며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브라코는 전남 여수에 위치한 건설사 씨앤지엔지니어링(이하 씨앤지)이 2012년 브라질 현지에 설립한 회사로 브라질 국책사업인 CSP공사 참여를 위해 만든 특수목적법인이다.

문제는 공사 시작 후 발생했다. 브라코로 들어온 공사대금이 밖으로 새어 나갔다는 게 씨엔지 정모 대표의 주장이다. 그는 지난 2013년 2월 들어온 공사 착수금 60억 원을 시작으로 이후 계속해서 돈이 어디론가 사라졌다고 했다.

정 대표는 포스코에서 공사비가 들어왔지만 법인계좌의 입출금 내역을 열람한 2013년 2월부터 8월까지 들어온 약 300억 원 정도의 공사비 중 90억 원이 없어졌다고 <뉴스타파>와 인터뷰에서 주장했다.

이에 대해 브라코의 브라질 현지 사업 책임자(법인장)였던 김모씨는 혐의를 전면 부인하며 브라코가 고용한 회계부서 여직원의 소행임을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의혹들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일요주간>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현재 회사는 모르는 일이다”며 “공식 수사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짧막하게 답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