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문재인 '한가위 합의' 후폭풍...친박.청와대 반발에 김무성 '맞불'

최종문 기자 / 기사승인 : 2015-10-01 14:57:52
  • -
  • +
  • 인쇄
▲ ⓒNewsis
[일요주간=최종문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한가위회동을 통해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등에 대한 의견접근을 이룬 가운데 여당 내에서 친박(박근혜)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고 청와대도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고 있다.

김무성 대표와 문재인 대표는 지난달 28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회동을 갖고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뤘다. 특히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지역구 의석수와 비례대표 의석수 조정 등 선거구 획정 관련 문제,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새누리당의 경우 최근 김무성 대표와 대립각을 세우며 국민공천에 반대해온 당내 친박계를 중심으로 “야당의 혁신안을 받아들였다”는 비난이, 새정치연합의 경우 당 밖의 신당파를 중심으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포기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친박계의 좌장격인 서청원 최고위원과 김태호·이인제 최고위원은 지난달 29일 김 대표가 문 대표와의 회동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주재한 긴급 최고위원회의에 대거 불참했다.

이정현 최고위원의 경우 회의에는 참석했지만 불편한 모습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2시간여 동안 진행된 회의 후 회의 결과 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며 경직된 모습으로 회의장을 빠져나갔다.

친박계 핵심인사 중 한 명인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도 회의에 불참한 채 “문 대표와 친노(친노무현)계의 손을 들어준 졸작 협상”이라고 비판했다.

조 원내수석은 이날 “김 대표가 ‘완전 합의사항은 아니다’라고 하는데 여야 당 대표의 합의안이라는 것은 그 자체로 무게가 실린다”며 “내용 면에 있어서도 그렇고 제대로 된 당내 절차를 안 밟은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외국에 가 있는 상황에서 굳이 그렇게 했어야 했느냐”라며 “야당 내에서도 반발이 있는 안인데 굳이 문재인 대표와 친노계 손을 들어줬어야 하나”라고 지적했다.

청와대 정무특보를 맡고 있는 윤상현 의원 역시 “김 대표가 그동안 야당 혁신안을 두고 후퇴한 안이라고 그렇게 비난하더니 결국 그 안을 받아들인 것 아니냐”며 “말도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이처럼 친박계를 중심으로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김무성 대표는 1일 청와대의 ‘안심번호 합의’ 비난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합의 발표 전에 청와대에 미리 알렸다”고 내막을 공개하며 반격에 나섰다.

전날 “더 이상 참지 않겠다”던 김 대표가 청와대를 향해 적극적인 공세로 나아가는 모습이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여야 대표 회동 전 청와대에 내용을 통보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청와대로부터) 찬성, 반대 의사는 듣지 않았지만 이러한 방향으로 내가 전개하려고 한다는 것은 상의했다”며 “(회동이)끝나고 난 뒤 발표문을 그대로 찍어 다 보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청와대 측은) 그냥 듣기만 했다”며 “누구와 통화했는지는 밝히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당 대표로서 어떤 비판도 수용하지만 없는 사실을 갖고 자꾸 비난하면 당이 분열만 된다. 그럼 선거에 불리해진다”며 “지금 야당은 분열됐고 우리는 그동안 잘 단결했는데 우리가 분열되면 똑같은 입장이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청원 최고위원의 비판 발언에 대해서는 “일문일답식으로 대응할 생각이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어제 모두 동의하는 결론을 낸 것을 갖고 다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면 되지 이걸로 정치적 공방을 하는 것은 옳지 못하기 때문에 대응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서 최고위원이 김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에 정치생명을 건 것을 비판한 것에 대해서는 “의총서 수차례에 걸쳐 토론한 결과를 당론으로 채택했다. 이걸 정치 개혁이라고 인정하고 있다”며 “개혁안을 관철하기 위해 당 대표가 노력하는 차원에서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한 게 잘못됐냐”고 반박했다.

김 대표는 청와대의 공천 개입 논란에도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며 “어제 의총에서 내린 결론은 국민공천제 취지 하에서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가 현실적으로 안 되기 때문에 그 취지에 입각한 다른 방법을 모색해보자고 한 것”이라고 답했다.

공천 관련 기구에 대해서는 “논의 내용은 자유”라며 “하지만 만약 기구에서 전략공천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도 개인적으로, 당 대표로서 전혀 생각이 없다”고 못박았다.

한편 새정치연합의 경우 새누리당에 비해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한 반응이 조용한 편이다.
전직 대표에 대한 열세지역 출마 또는 용퇴 요구, 하급심 유죄 공천불가원칙 등 ‘인적쇄신안’으로 당내 비주류들이 발칵 뒤집힌 상황이기 때문이다. 안심번호를 전제로 한 100% 국민공천제가 이미 당무위원회를 통과한 것도 당내 반발이 덜한 요인이다.

하지만 당내 일각에서는 문 대표의 협상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