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에 몰린 문재인, ‘조기 선대위’ 카드에 김한길 등 비주류 반응 ‘냉담’

고보성 / 기사승인 : 2015-12-24 16:34:08
  • -
  • +
  • 인쇄
▲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의 연쇄 탈당에 고심이 깊어지는 문재인 대표. ⓒNewsis
[일요주간=고보성 기자] 최근 잇따른 새정치민주연합내 연쇄 탈당 사태로 벼랑 끝에 몰린 문재인 대표가 조기 선거대책위원회(이하 선대위)’를 수용하고 전격 수습에 나서는 모양새다. 과연 문 대표가 분당 위기에 놓인 난국을 돌파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지난 23일 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혁신과 단합을 기조로 선대위를 조기에 출범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에 공감한다당내 공론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조기 선대위 구상은 그간 꾸준히 거론되온 당 내홍 수습책으로 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2선으로 후퇴하고 새롭게 구성하는 선대위가 지도부의 권한을 행사하도록 하겠다는 것.
문 대표 입장에서는 대표직에서 물러나지는 않지만 공천을 비롯한 대부분 권한을 선대위로 넘기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론 명목상 대표직을 유지하는 수준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문 대표는 인재영입, 야권통합 정도로 대표로서의 입지가 대폭 줄어들게 된다.
같은 날 임내현 의원이 추가 탈당하고 김한길 전 공동대표·박영선 전 원내대표의 탈당이 공개적으로 언급되는 등 분당 국면이 확산될 조짐이 보이자 문 대표가 한 발 물러나 수습안으로 조기 선대위 카드를 꺼낸 것으로 분석된다.
그간 대표직 사퇴의 요구를 공천권을 노린 비주류의 지도부 흔들기로 규정하고 혁신위원회가 마련한 공천혁신안이행을 명분으로 사퇴 요구를 사실상 일축해 왔음을 놓고 볼 때 문 대표가 정치생명을 건 결단을 내린 것으로 관측된다.
이같은 문 대표의 조기 선대위 출범안에 김현미·민병두·박홍근·우상호 의원 등 수도권 지역구 의원 12명은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호응을 보였다.
하지만 이날 오후 문 대표 측이 더 이상의 추가 탈당이 없어야 한다공천은 선대위에 전권을 줄 수 없고 시스템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달자 김한길 전 공동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 등 분당의 키를 쥐고 있는 인사들이 미온적으로 돌아서면서 새정치연합 내홍이 다시금 불붙는 양상이다.
24일 박 전 원내대표는 광주MBC ‘시선집중 광주에 출연해 “(문 대표는) 주류 일색의 인사를 협의 없이 강행하고 평가위 평가는 평가대로 혁신은 혁신대로 (강행해 왔다)”“(그동안) 마이웨이를 강행해 오는 (문 대표의) 모습을 볼 때 (조기 선대위에 대해 표시한 문 대표 공감에는) 진실성이 없다고 문 대표를 비판했다. 호남 맹주로 불리는 박 전 원내대표는 문 대표의 대표직 사퇴를 요구하며 탈당을 공언해왔다.
비주류 수장인 김한길 전 공동대표 역시 문 대표의 조기 선대위 카드에 대해 그 정도로는 국민에게 감동을 주지 못한다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공동대표 또한 문 대표가 사퇴하지 않는다면 탈당할 수밖에 없다며 최후통첩을 한 상태다.

이와 함께 비주류 구당(救黨) 모임 역시 좀 더 구체적인 안을 내놔야 한다”며 문재인 대표를 압박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