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반기문 위안부 발언 UN입장에 상충” 질타
[일요주간=고보성 기자]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한일 양국 간 일본군 위안부 협의 문제가 진보와 보수 간 이념논쟁으로 확대된 양상을 띠고 있다. 이런 가운데 종교단체들이 잇따라 '위안부 문제 재협상'을 촉구하고 나서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앞서 한일 양국은 지난달 28일 일본군 위안부를 위한 10억 엔(약 97억 원)의 재단기금 출연, 아베 신조 총리의 사과 전달, 국제사회서 일본 비판 자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등의 내용을 협의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여야는 “역대 어느 정부도 하지 못한 외교적 결실”이라고 여당의 주장과 “국민과 세계를 배신했다. 재협상하라”는 여당의 주장이 충돌하고 있다.
여기에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로 꼽히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발언은 위안부 협의 결과를 정치이념 논쟁으로 확대시키는 계기가 됐다.
반 총장은 이달 1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24년간 어려운 현안으로 돼 있었던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합의에 이른 것을 축하한다”며 “(박 대통령이) 비전을 갖고 올바른 용단을 내린데 대해 역사가 높게 평가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여당은 물론 야당 인사들의 쓴소리가 이어졌다. 특히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지난 5일 반기문 총장의 발언에 대해 “본인이 왜 그런 말을 했는지 모르지만 내 솔직한 심정은 볼 때 UN 사무총장이 입 닫고 가만히 있지”라고 원색 비판했다.
이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한 뒤 “한일 문제 매듭도 안 짓고 그 문제 정리도 안 됐는데 그걸 먼저 평가하고 나서면 유엔 사무총장은 옳지 않다”고 거듭 반 총장을 비판했다.
그는 “(소녀상 철거 문제에 대해) 서로 해석이 다른 것 아니냐. 한국 외교부하고 일본 외교부가 해석이 서로 다른 것 아닌가”라며 “그런 시기에 (반 총장이 위안부 협상을) 지지하고 나섰다는 것은 이게 올바른 판단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에 진행자가 ‘반 총장이 혹시 대선 후보로서 이런 행동을 한게 아니냐’고 질문하자 이 의원은 “대선이 애들 장난도 아니고...”라고 혀를 찼다.
이 의원은 더 나아가 이번 위안부 협상을 지난 1964년 굴욕적 한일협정의 재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마치 64년 한일협정 할 때 독도문제를 두고 그 독도비밀협정 할 때 일본은 일본 거라고 그러고 한국은 한국 거라고 그러고 서로 주장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런 식의 협상을 한 것과 똑같다”며 소녀상 철거 문제를 거론한 이번 위안부 협상을 64년 한일협정의 재탕으로 규정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옛 새정치민주연합)에 입당한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반 총장은 ‘한일협상 지지 발언’을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표 소장은 지난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반 총장은 ‘한일 간 어려운 관계’가 없었다면 UN사무총장이 되지 못했을 것”이라며 “그저 참여정부 외교장관에 불과했던 당신에게 UN사무총장 자리를 안겨준 것은 고 노무현 대통령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반 총장은 어떻게 보면 특별한 한일관계, 동북아 내 전범국인 일본의 특수성의 혜택을 입은 것”이라며 “그럼에도 아파하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피해자 할머니들과 대한민국을 비롯한 피해국 국민의 아픔과 상처를 헤집고 분노를 유발하는 엉뚱한 ‘한일협상지지’ 발언은 온당치 않다”고 지적했다.
표 소장은 그러면서 “어떤 이유에서인지 모르겠으나 민족의 자존심과 피해자들의 명예에 큰 손상이 가는 ‘국내 정치권력 편들기’를 위해 (총장으로서의) 명예와 이미지를 소비한다면 실망스러울 것”이라며 “부디 ‘존경받는 한국인’으로 남아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최고위원은 지난 4일 반기문 총장의 위안부 관련 발언에 대해 “UN이 가진 기본입장과 상충된 발언”이라며 질타했다.
더민주 정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UN 산하기관의 권고사항이 하나도 통과된 것이 없는데 느닷없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합의를 축하한다고 한 것은 반 총장의 개인입장인지 UN입장인지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정 최고위원은 “2014년 UN시민적정치적권리위원회 산하 비규약인권위원회는 위안부에 대한 일본 대응을 심사하면서 일본에 2008년 법적책임의 인정과 보상 등을 권고했음에도 일본 정부가 이를 제대로 이행안한 것을 지적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UN위원회는 최종의견서에서 위안부 문제 관련해 많은 경우 모집·이송 및 관리가 본인 의사에 반해 일본군의 강제와 협박에 의해 이뤄졌고 강제 이주된 것이 아니라는 일본의 모순된 입장에 우려를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UN위원회는 일본의 책임을 공식인정했고 위안부 문제를 부인하려는 모든 시도를 규탄한다며 위안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고 강조했다.
정 최고위원은 “이에 반해 반 총장은 (UN에) 정면 배치되는 발언을 하고 있다. UN시민적정치적권리위원회의 촉구 내용 중 무엇이 이번 합의에 반영됐는지 묻고 싶다”고 쏴붙였다
정부 “명분과 실리 챙겨”
이같은 부정적인 시각과 달리 정부와 일부 전문가들은 ‘24년만의 성과’라는 표현과 함께 명분과 실리를 챙겼다고 평가한다.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정부에 책임이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처음으로 진일보한 것이며 향후 양국 관계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리얼미터가 전국 성인 508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국민 반응은 크게 절반으로 갈렸다.
구체적으로 ‘잘못했다’는 의견은 전체의 50.7%를 차지한 반면 ‘잘했다’ 의견은 43.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각에서는 위안부 협의 문제가 시민단체들 간 대립구도로 번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한 시민운동가는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한창 이슈였을 때에도 초기에는 반대 쪽 목소리가 주를 이뤘으나 어느 순간인가부터 국정화 지지단체의 집회도 잇따랐다”며 “진보 목소리가 꾸준한 만큼 보수 진영의 주장도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은 한일 위안부 협의 결과가 발표된 지난달 28일부터 비판의 목소리를 멈추지 않고 있다.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의 입장을 듣지 않고 정치인들이 낸 결과물이며 법적책임 부분도 빠지는 등 처리에 급급했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지난 1992년 1월부터 매주 수요일마다 정기적으로 열고 있는 수요집회를 계속해나갈 계획이며 미국,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연대체를 만들어 세계적 행동을 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외 항일독립운동가단체연합회, 대학 총학생회, 한국작가회의, 일부 예술인 등이 일본대사관 앞에서 한일 위안부 협의 무효 및 폐기를 외치며 기자회견을 비롯한 수요집회 참석, 항의공연, 퍼포먼스 등을 이어가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부산 덕포동 중흥S클래스 건설현장서 화재 발생...검은 연기 치솟아 [제보+]](/news/data/20220901/p1065590204664849_658_h2.jpg)
![[포토] 제주 명품 숲 사려니숲길을 걷다 '한남시험림'을 만나다](/news/data/20210513/p1065575024678056_366_h2.png)
![[포토] 해양서고 예방·구조 위해 '국민드론수색대'가 떴다!](/news/data/20210419/p1065572359886222_823_h2.jpg)
![[언택트 전시회] 사진과 회화의 경계](/news/data/20210302/p1065575509498471_939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