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지원 일자리 창출에 효과 높아

신효휴 / 기사승인 : 2009-04-05 21:36:49
  • -
  • +
  • 인쇄
기술보증기금(이사장 진병화)은 창립20주년을 맞이하여 중소기업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술금융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6일 발표 했다. 이번 설문조사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기술보증지원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

보증지원을 통해 직원을 1~3명을 고용했다고 응답한 기업이 55%, 4~6명을 고용했다고 응답한 기업이 21%를 차지하는 등 응답한 기업의 90%가 직원을 추가 채용했다고 밝혀 기술보증지원이 일차리 창출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기술보증을 지원할 때 기업의 기술개발 능력 및 기술개발인력에 대한 심사 항목이 많아 기술개발인력의 채용을 유인함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자금조달이 가장 큰 애로사항

중소기업들은 기업운영에서 어려운 점으로 자금조달(63%), 원자재 및 유가상승 (17%), 마케팅(9%)순으로 응답했다. 자금조달이 어렵다는 비율은 창업후 3년 이내 기업은 71%, 11년 이상 된 기업은 49%로 나타나, 창업초기 기업일수록 자금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책자금 및 보증지원 확대를 중소기업 정책으로 요구

중소기업들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에서 취해야 할 바람직한 중소기업 정책으로 정책자금 지원확대(46%), 보증지원 확대(39%)로 응답했다. 창업후 3년 이내 기업의 경우에는 정책 자금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비율(51%)이 더 높았다.

기술금융의 필요성 높게 평가

기업이 가진 기술력을 평가하여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 등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금융제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1%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응답한 기업의 89%가 기술평가보증제도가 국민경제 발전에 대한 기여도가 크다고 응답해, 중소기업들이 기보가 시행하고 있는 기술평가보증제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를 담당한 기보 관계자는 “올해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가운데 기술평가 능력을 고도화하고 기술금융종합지원 체제를 구축해 시장친화적인 기술금융 전문기관으로 도약해 나가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