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은 이번 분석에서 시설에 입소하고자 하는 수급자들이 서울, 부산 등 광역시지역에 있는 시설을 원하는 경우가 입소 정원 대비 110%인데 반해, 군지역에 있는 시설을 원하는 경우는 정원 대비 81%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수급자나 그 가족이 요양시설을 선택 할 때에는 시설의 환경이나 청결상태와 같은 시설상태도 살펴보지만, 접근성이 용이하여 가족들이 부모님을 집 가까이에서 안심하고 요양시킬 수 있는 시설을 선호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시설에 대한 입소희망율(현재입소자+입소대기자/정원)이 143%로 사회복지법인(90%)이나 개인(80%)이 운영하는 시설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수급자와 그 가족은 수익성 위주로 운영하는 민간시설 보다는 공익성이 강한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시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고유정서상 요양시설에 전적으로 부모님을 맡겨 놓는 것 보다는 집 가까운 시설에 모시고 가족이 자주 찾아 부모님에게 정서적 안정을 주면서 자식된 도리를 하고자 하는 마음이 반영된 현상으로 보인다.
그러나, 종교단체에서 운영하는 시설과 비 종교단체에서 운영하는 시설을 비교한 결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요양시설을 선택할 때에는 종교여부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는 수급자가 생활권내 시설을 이용하기 편리하게 시설이 모자라는 서울 · 부산 지역 등 광역시 중심으로 인프라 확충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지역은 지가가 높아 민간이 참여하기 힘들어 공공 부분의 참여가 절실한 상황이며, 수급자들도 공공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시설을 선호하고 있어 정부와 지자체 등 공공부분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