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최근 3년간(2005~2008)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08년 우울증 진료 환자수는 469,522명(남142,479명, 여327,043명)이었다.
특히, 70대 이상에서는 2008년 78,291명으로 전년도 70,406명에 비해 11%이상 증가하여 다른 연령대 보다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10만명당 기준으로 보면 70대 이상 여성이 3,222명(남2,136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65-69세 여성 3,116명(남1,340명), 60-64세 여성 2,751명(남1,204명)순(順) 이었다.
남·여간 비율은 9세 이하 에서는 남자가 조금 많았으나, 10대부터는 여성이 많아져 30대에서 남·여간 차이가 2.7배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50대 2.5배, 40대 2.4배순이었다.
2008년 직장근로자와 비근로자 우울증 진료 환자수를 10만명당 기준으로 보면 근로자는 680명(남536명, 여954명) 이었고, 비근로자는 1,069명(남609명, 여1,454명)으로 나타나, 남여 모두 비근로자가 직장근로자보다 우울증 진료환자수가 더 많았다.
시·도별 우울증 진료환자수를 10만명당기준으로 보면 제주도가 1,304명(남 743명, 여 1,876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충남 1,206명(남 720명, 여 1,714명), 대전1,156명(남 680명, 여 1,636명)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우울증 진료비는 2005년 1,365억원에서 2008년 1,907억원이었으며, 급여비는 2008년 1,300억원으로 68.2%를 공단이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환자 1인당 연간 진료비는 2008년 406,100원이었고 급여비는 1인당 276,900원이었다
이에 대해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과 강지인교수는 “우울증은 일정 기간 이상 우울한 기분이 일반적으로 예측되는 수준 이상으로 지속되어 한 개인의 사회적, 직업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우울증 예방을 위해 명상이나 요가, 스트레칭 등을 권고하였다. 특히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여유와 유머가 있는 긍정적 태도가 우울증 예방에 무엇보다 바람직하다”고 전한다.
“또한, 우울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혼자 고립되어 지내지 말고 주변 사람들에게 지지와 도움을 요청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우울증은 정신과 약물치료로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적극적 치료를 받아야 하며, 증상이 치유되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조급하게 서두르지 말고 여유를 갖고 일상 생활에 차근차근 적응해 나가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