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여름철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출입항로 등의 해안가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국지성 안개나 호우로 인하여 시정이 악화된 상태에서 운항자의 경계소홀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므로 운항과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체 직무교육과 충돌예방 교육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또한, 여름철 태풍 내습에도 철저한 대비를 하여야 하는데, 경미한 기관사고 또는 부유물에 의한 안전저해사고로도 운항불능 상태에 빠지면 대형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출항전 선체, 기관상태에 대한 점검을 철저히 하고 항만 인근에서의 폐어망, 폐로프가 스크류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에서 발표한 7월 해양안전예보에 따르면, 지난 5년간 7월중 발생한 해양사고는 총 284건으로 ▲충돌 89건(31.3%) ▲기관손상 57건(20.1%) ▲안전운항저해 35건(12.3%) ▲좌초 27건(9.5%) ▲침몰 17건(6.0%) ▲인명사상 11건(3.9%) ▲접촉 8건(2.8%) 등의 순으로 집계되었고, 이로 인해 발생한 인명피해는 총 162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하였으며 그중 충돌사고시 85명(52.5%), 좌초사고시 19명(11.7%), 침몰사고시 17명(10.5%), 인명사상(선내작업중 인명피해)사고시 15명(9.3%), 접촉사고시 14명(8.6%), 기타 12명(7.4%)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특히, 본격적인 피서철이 시작되어 도서지역을 찾는 국민이 증가함에 따라 여객선과 유도선의 증편운항이 예상되고, 이로 인하여 선박 운항자의 피로가 누적되어 해양사고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관련 업·단체에서는 철저한 안전점검과 운항자의 피로도를 감안한 운항일정 조종이 필요하다.
또한, 장마기간 중 소형어선을 중심으로 전기계통의 절연불량으로 인한 감전사고 및 누전으로 인한 화재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시기이므로 전기설비에 대한 철저한 안전점검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