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 vs 비주류, 파워게임 속내는?

임완택 / 기사승인 : 2010-04-19 10:27:33
  • -
  • +
  • 인쇄
민주당 지방선거 공천 파문

정세균 대표 등 주류측 “무책임한 지도부 흔들기”
정동영·천정배·이종걸 “전횡으로 경선 파행 초래”
선거 이후 전당대회 대비한 ‘내사람 심기’ 속셈?

[일요주간=임완택 기자]
민주당이 6월 지방선거를 코앞에 두고 당내 경선 및 공천 문제로 정세균 대표를 정점으로 하는 주류측과 정동영·천정배·이종걸 의원을 주축으로 하는 비주류측이 힘겨루기 양상을 보여 주목되고 있다.


특히 민주당 존립의 근거지역 호남과 이번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인 서울·경기 수도권 광역단체장 경선의 무산과 방식 등을 놓고 주류와 비주류가 서로 난타전을 벌이면서 대결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이에 대해 주류측은 “무책임한 지도부 흔들기”라고 강력 대응하고 있는 반면 비주류측은 “주류측 전횡으로 곳곳에서 경선 파행 초래”라며 당 쇄신을 정면으로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전번에 실시된 광주시장 경선은 안팎에서 심각한 후유증을 낳고 있고, 전남과 전북은 경선이 무산됐으며, 서울·경기 등 수도권의 경우도 ‘불공정 경선’의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민주당의 주류와 비주류의 대립은 겉으로는 지방선거에서의 공천 문제가 이유이지만 안으로는 선거 이후 전당대회 등을 대비한 ‘내사람 심기’가 깔려있다는 게 대체적 시각이다.

정치적 고향 호남서 경선 ‘후폭풍’

민주당의 절대 기반인 호남지역 광역단체장 경선전이 파행으로 진행되면서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우선 정치적 상징성이 큰 광주시장 후보 경선에서 낙선자측이 ‘불법 여론조사’ 의혹을 제기하고 재심을 요청한데 대해 당 지도부는 상당히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광주는 정세균 대표가 ‘개혁 공천’을 위해 시민공천배심원제를 적용한 전략지역이라는 점에서도 ‘뒤탈’을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더구나 이 문제가 검찰 수사까지 의뢰한 사안으로 자칫 법정으로 비화될 수 있어 지도부는 경선 문제 처리를 놓고 심각한 딜레마에 빠져들었다는 후문이다.


이에 공직선거후보자추천재심위원회가 광주시장 경선과 관련한 재심 요청에 대해 본격적인 심사에 들어가면서 결과에 상당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각에선 이번 광주 경선전과 관련 “이번 사안은 어떤식으로 결정되든 계파갈등의 도화선이 될 공산이 크다”고 진단하고 있다. 또 전남과 전북의 단체장 경선도 후보들의 후보등록 거부로 경선 자체가 취소 되는 등 사태가 심각하게 돌아가고 있다.


전남의 경우는 박준영 현 지사에 대해 도전장을 낸 주승용 의원과 이석형 전 함평군수가 경선 방식이 “불공정하다”며 후보 등록을 거부했다.


전북의 경우도 김완주 현 지사에 대항해 유종일·정균환 예비 후보가 김 지사에 대한 후보자격 재심의를 중앙당에 요구했으나 거부되자 경선 참여를 포기했다.


이와 관련 현지에선 “민주당 깃발만 꼽아도 당선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지역에 당내 경선 없이 공천할 경우 한나라당에 맞서 지방권력을 되찾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잃으면서 호남에서는 기득권 지키기에만 몰두한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반응이다.

한나라당 전남서 첫 토론회

반면 한나라당은 정치적 불모지나 다름없는 전남지역에서 지방선거 사상 처음으로 전남도지사 후보 경선 TV토론회를 개최하고 ‘전남을 발전시킬 수 있는 집권 여당 지지’를 호소하고 나서 눈길을 끌었다.
전남도지사 예비후보로 등록한 김문일·김대식·정훈 예비후보들은 지난번 KBC광주방송에서 전남도지사 경선 후보 TV합동토론회를 열고 정책과 비전 등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쏟아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들은 저마다 중앙정부와 여당의 가교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적임자임을 강조하면서, 지역에서의 기여도 및 정부와 청와대와의 ‘다리 역할’을 놓고 서로 적임자임을 내세워 지역민들의 관심도를 높이려 애를 썼다.


이에 대해 현지 반응은 “민주당이 광주시장 경선과 호남지역 경선이 내부 혼란과 미궁으로 빠져들면서 한나라당이 그 틈새를 빠르게 파고 들고 있다”고 평하고 있다.


민주당의 호남지역 경선이 파행으로 진행되면서 상대적으로 한나라당 전남지사 경선이 신선한 느낌으로 다가오고 있는 분위기이다.

서울·경기 후보 경선 ‘잡음’

이러한 가운데 민주당의 최대 승부처로 인식되는 서울·경기등 수도권 광역단체장 경선도 잡음이 일고 있어 계파 갈등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서울시장 후보로 나선 이계안 전 의원은 지도부가 서울시장 후보로 한명숙 전 국무총리를 전략공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데 대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이 전 의원은 “당 지도부가 경선없이 한명숙 전 총리를 서울시장 후보로 전략 공천하는 것은 민주당이 어떤 당인지를 망각한 처사”라고 비판하고, “민주당은 경선 특허당”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의원은 그러면서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을 배출한 것도 국민이 주인이 되는 경선을 통해서였다”고 일갈했다.


앞서 경기도 지사 경선에 나선 이종걸 의원도 불공정 경선을 주장하며 후보를 사퇴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이종걸 의원은 경기-전남-전북 등 경선이 무산 또는 파행을 겪고 있는 지역 비주류 예비후보들과 긴급 회동을 갖고 이번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당내 민주주의가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앞으로 정세균 지도부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들은 이번 긴급 회동에서 서울시장 선거에서도 경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지방선거를 앞두고 갈길 바쁜 민주당이 주류와 비주류간 내홍이 깊어지면서 한명숙 전 총리의 무죄 판결 이후 야권 지지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겠다던 전략이 점점 동력을 잃어 가고 있는 국면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