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적 이유 “‘미니 총선’ 앞두고 전대 열면 총력 체제 불가능”
내면적 배경 “이재오 위원장 재선거 당선후 당권도전 사전포석”
친박계 강한 반대 속 정몽준 대표 중간자적 속셈에 관심 집중
[일요주간= 임완택 기자] 한나라당 내부에서 7월 2일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8월경으로 연기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주장은 친이계 핵심에서 제기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표면적인 이유는 오는 7월 28일 전국 10개 지역 안팎에서 치러지는 ‘미니 총선’을 앞두고 전당대회를 열 경우 제대로 준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자칫 전당대회가 당권을 둘러싸고 내부 분열로 이어질 경우 곧바로 치러지는 ‘미니 총선’에서 총력 체제를 가동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이다. 하지만 정가 주변에선 이처럼 표면적인 이유보다는 그 배경을 다른 곳에서 찾고 있다.
이에 일각에선 “이번 재보선에 ‘여권 실세’로 통하는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의 출마설과 전당대회 연기론이 맞물려 있다”면서 “전당대회 연기론은 이재오 위원장이 이번 재보선에서 출마해 승리한 뒤 당권도전에 나서기 위한 사전 포석의 일환”이라고 관측한다.
우선 6월 지방선거에 현역 국회의원들이 대거 출마하면서 7월 재보선은 ‘미니 총선’이라고 불려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실제로 재보선으로 치러야할 선거구는 전국에서 서울, 인천, 경기, 충남·북, 강원, 광주 등 무려 10곳 안팎에 달하고 있다.
7월 28일 실시되는 ‘미니 총선’
서울 지역은 은평을로 이곳은 문국현 전 창조한국당 대표의 당선 무효로 재선거가 실시되는데, 서울시장 경선 결과에 따라선 한 곳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경기도는 민주당 김진표 의원의 경기지사 출마로 수원 영통에서, 인천은 민주당 송영길 의원이 인천지사 선거에 출사표를 던져 계양을에서 각각 치러진다. 특히 강원도에선 무려 3곳에서 재보선 열전이 펼쳐진다.
강원도 지사 선거에 출마를 선언한 한나라당 이계진 의원의 지역구 원주와 민주당 이광재 의원의 지역구 태백·영월·평창·정선, 그리고 민주당 이용삼 의원의 사망으로 공석이 된 화천·양구·인제가 그곳이다. 이어 충남은 자유선진당 박상돈 의원이 출마하는 천안, 충북은 민주당 이시종 의원이 출사표를 던진 충주에서 각각 실시된다. 광주의 경우도 민주당 강운태 의원이 광주시장 후보로 최종 확정되면 남구에서 보궐선거가 시작된다.
여기서 최대 관심은 단연 서울 은평을 재선거로 ‘여권 실세’로 불리는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의 출마 여부이다. 이는 현재 정치와 행정의 경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 위원장이 출사표를 던질 경우 ‘여의도 정치 복귀’를 선언한 셈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될 경우 야권의 몇몇 거물급 인사들이 출마를 채비하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 위원장과의 ‘빅매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친이계 핵심 ‘전대 연기’ 공론화
이러한 가운데 친이계 핵심인 정두언 의원은 지난번 “7월 재보선은 미니총선인데 이를 앞두고 전대를 열 경우 제대로 준비할 수 없다”며 ‘전당대회 연기론’을 들고 나와 논란에 불을 지폈다. 다른 친이계 의원도 “6월 지방선거와 7월 재보선 결과가 함께 반영되는 전당대회가 돼야 한다”며 ‘8월 전대론’에 힘을 실었다. 이유는 전국에서 실시되는 7월 재보선을 새 지도부가 치러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더구나 재보선에서 패배할 경우 새 지도부가 시작부터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것.
하지만 이같은 ‘전대 연기론’이 겉으로 거론되는 표면적인 이유보다는 특정인 즉 이재오 위원장의 당권 도전을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게 정가의 대체적 시각이다. 이 대목 일각에선 “친이계의 속셈은 좌장격인 이재오 위원장의 당권 도전을 위한 자리를 깔아 주려는 의도에서 연기론에 불을 지피고 있다”면서 “당장은 이 위원장이 출마를 선언하고 당선 가능성이 있어야만 이같은 연기론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반면 이같은 친이계의 속셈을 간파한 일부 당권 도전자들은 당초 일정대로 대회를 열자며, 격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당권 도전을 선언한 홍준표 의원은 “전대를 연기할 뚜렷한 이유가 없다”며 “지도부를 선출하지 않은 상태로 7월 재보선을 치르는 것은 공당이기를 포기하는 것”이라며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정몽준·박근혜 의중이 최대 관건
그렇다면 다시 당권에 뜻이 있는 정몽준 대표와 더욱이 이재오 위원장과 대결 관계에 있는 박근혜 전 대표는 이같은 ‘전대 연기론’을 어떻게 생각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 정 대표는 “연기론에 대해 논의를 해볼 수 있다”면서도 “특정인 때문에 전대를 연기하자는 주장도 문제지만, 특정인을 배제하기 위해 연기가 안된다고 주장하는 것도 문제”라면서 일단 중간자적인 입장이다.
그래서인지 일각에선 정 대표가 이같은 논쟁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전대 연기론’을 공식 제기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정 대표가 오는 6월 11일부터 7월 12일 사이에 열리는 남아공 월드컵과 이를 전후한 FIFA 회의 참석 등의 일정으로 사실상 7월초 전당대회는 버겁다는 지적에서 ‘8월 전대론’를 들고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다.
하지만 이같은 관측에 대해 정 대표측 모 의원은 “당내 여러 의견이 있는데 대표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정 대표가 직접 제기하지는 않고, 중립적인 입장을 취할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친박계는 ‘전대 연기론’에 전혀 공감하지 않고 있다. 친박계측은 당헌·당규를 무시하면서까지 선출직인 대표 임기를 연장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박 전 대표와 대립관계에 있고, 친이계 좌장으로 불리는 이 위원장의 ‘정치 복귀’를 위해서 전당대회를 연기하는 것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친박계로서는 전대가 연기되고 이 위원장이 은평을에서 당선된 뒤 전당대회에서 당권 도전에 성공할 경우 박근혜 전 대표의 대권 가도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금치 못하는 분위기이다.
결국 친이계 일각에서 주장하는 ‘전대 연기론’은 이재오 위원장의 은평을 재보선 출마 여부, 이후 당권도전 가능성, 정몽준 대표의 중간자적 속셈, 친박계의 강한 반대 등과 맞물리면서 예측불허의 혼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