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에 묻흰 지방선거, 피말리는 초박빙 승부 예고

임완택 / 기사승인 : 2010-05-04 16:38:48
  • -
  • +
  • 인쇄
6.2지방선거 심층진단

여, 미래연대와 통합.북풍으로 보수세력 집결 유리한 국면
야, 민주당.국민참여당.평민당으로 분화 ‘야권 연대’ 불투명



6월 2일 지방선거가 역대 지방선거와는 판이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천안함 46용사’ 영결식이 전 국민의 애도와 안타까운 마음속에 치러진 가운데 지방선거 분위기가 좀처럼 뜨지 않고 있다. 천안함 침몰이라는 초대형 국가적 사고 앞에서 지방선거가 힘없이 묻혀버린 것이다.


특히 천안함 침몰 직전까지 선거이슈로 부각돼 왔던 세종시, 4대강, 무상급식 등의 핵심쟁점들이 천안함 정국에 모두 뒷전으로 밀려났다. 여야는 이 같은 정국 상황이 지방선거에 어떻게 작용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지방선거와는 판이한 이번 지방선거 분위기를 전격 진단해 본다.

지방선거 앞두고 초대형 사고
지방선거가 불과 한 달도 남지 않았지만 ‘천안함 정국’에서 완전히 헤어나지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가 국민들의 관심권에서 멀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돌고 있다. 여야는 영결식 이후에도 이 같은 애도 분위기가 이어져 지방선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지 고심하고 있다. 당장 한나라당은 흥행을 기대했던 서울시장 후보 경선이 예상보다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며 걱정이다.


민주당은 지난번 법원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해 기대를 걸었던 ‘한명숙 바람’이 천안함 정국으로 사라졌다며 울상이다. 하지만 여야는 천안함 침몰의 원인이 ‘북한의 소행’으로 연결될 경우의 선거 전략은 다르다.
한나라당은 이 사고를 국가안보위기상황으로 규정하고 ‘안보론’을 적극 강조하면서 보수층을 결집시키는데 주력한다는 복안이다. 반면 민주당은 현 정부의 안보 무능력과 위기관리 능력을 문제 삼으며 ‘북풍’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는 전략이다.


일각에선 “역대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 같은 초대형 사고가 발생한 적은 유례가 없었다”면서 “유권자들이 이번 선거에서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따라 판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여권 ‘단결’vs야권 '분열'

지난 4년전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은 ‘정권 심판론’이 절대적인 지지를 받아 당시 집권당이었던 열린우리당에 맞서 지방선거에서 압승했다. 이는 지난 대선에서 한나라당이 집권하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 하지만 지금 야권은 지방선거를 코앞에 두고 민주당, 국민참여당, 평민당으로 분화되어 ‘정권 심판론’이 실종되면서 거대 여당에 힘들게 맞서야 할 처지이다.


더구나 당초 ‘반 MB’ 단일 전선에 맞춰 기대를 모았던 ‘야권 연대’도 불투명한 상황으로, 다만 민주당과 참여당이 경기도 지사 후보 단일화에만 의견 일치를 본 상태이다. 이에 따라 천안함 침몰사고 정국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야권 전체의 시련은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 반면 야권의 시련은 여권으로선 호재이다.


특히 한나라당은 이미 박근혜 전 대표를 지지하는 미래연대와의 통합을 마무리지어 홀가분한 상태이다.
이러한 가운데 범보수세력들의 집결을 유도할 수 있는 천안함 침몰 사고가 터지면서 ‘정권 심판론’이 더욱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것도 한나라당으로선 유리한 환경이다.


이 같은 여야의 사정에 대해 일부에선 “개혁세력들은 집권 당시의 지방선거에서도 열린우리당, 잔류 민주당으로 나눠어져 결국 대선에서 실패했다”면서 “반면 보수세력들은 지난 총선에서는 분열된 모습을 보였지만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다시 단합된 양상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고 평한다.

새로운 대립각 구도

이번 지방선거에선 지난 선거에서 보여줬던 기존의 영호남을 매개로 하는 지역정서 구도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대립각 구도가 형성될 조짐이다. 우선은 세종시 수정안 논란에서 비롯된 것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과의 대립 구도이다. 일부 여론조사에 따르면 수도권 민심은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비수도권은 반대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가 이번 지방선거에서의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표심이 어디에 쏠릴 지를 가늠하는 풍향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천안함 정국으로 세종시 문제가 이슈로 부각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무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구도는 현 여당과 야당의 태생적 근거지인 영호남에서 무소속과의 대결 구도이다.


특히 여당의 텃밭인 경남 지사 선거의 경우 한나라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간의 ‘혈전 승부’를 예고하고 있어 이번 지방선거 최고의 격전장이 될 공산이 커지고 있다. 현지 분위기는 경남은 전통적으로 한나라당의 텃밭으로 분류되지만 무소속 후보의 약진이 심상찮다는 반응이다.


호남 지역 기초단체장 선거에서의 ‘무소속 바람’도 민주당 전통적 기반을 무너트릴 정도로 위협적이라는 게 현지의 평가이다. 민주당이 호남 공천 문제로 심각한 몸살을 앓으면서 곳곳에서 무소속 출마를 선언, 호남 개혁공천을 발판으로 ‘바람몰이’를 하겠다던 민주당 전략에 먹구름이 낀 상태이다.


영호남에서의 이 같은 ‘무소속 약진’과 관련 현지에선 “지역정서에 기댄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장기 집권’ 폐해가 지역민들에게 이제는 피로감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지방에서는 ‘정권 심판론’ 대신 ‘지방 정권 교체론’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다”고 예상한다.

첫 교육감 선거 향배는

이번 지방선거가 지난 지방선거와 또 다른 이유는 역대 선거에서는 없었던 전국 광역시도 교육감 선거가 동시에 실시된다는 점이다. 이에 국민의 뜨거운 교육열만큼 지방선거보다는 오히려 교육감 선거가 관심도가 더 높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유권자들이 교육 정책에 관심에 더해지면 선거의 참여율이 높아지게 되고, 무상급식, 전교조, 사교육비 절감, 특목고 문제, 대학 등록금 등이 이슈화 될 경우 ‘뜨거운 감자’로 부상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지난 지방선거에선 없었던 교육감 선거가 변수”라면서 “교육에 목을 매는 우리 국민 정서상 열기가 뜨거워지면 지방선거 분위기는 어디로 흘러갈지 모른다”고 진단한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