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가들의 입맛 사로잡은 ‘솔래음’으로 오세요~

김태훈 / 기사승인 : 2010-09-16 13:46:08
  • -
  • +
  • 인쇄
가을에 오는 정겨운 맛 ‘팔공산 자연송이’

아직까지 무더위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지만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가을의 기운이 맴돈다.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한티재 하늘을 따라 가산산성 입구 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바로 자연산송이를 이용한 한식카페‘솔래음(정정자 대표)’이 보인다. 도심에서 가까워 조용한 자연의 정취와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어 연인, 가족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 유명하다.

팔공산자락의 다양한 변화를 느낄 수 있으며 요즘 같은 가을이면 심산유곡에 온듯 한 상쾌한 기분과 함께 도심생활에 지친 심신을 달래기에 부족함이 없다.

▲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한티재 하늘을 따라 가산산성 입구 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바로 자연산송이를 이용한 한식카페‘솔래음(정정자 대표)’이 보인다.

파군재삼거리에서 한티고개로 향하는 길은 연인들에게 최고의 드라이브코스로 정 평이 나있다. ‘솔래음’은 외관상으로 봐도 송이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실내는 정대표가 수집한 다양한 골동품들이 즐비하다.


코끝을 스치는 송이의 그윽한 향과 감미로운 음악이 흐르는 조용한 장소에서 도심의 어지러움을 잊고 정성과 맛이 담긴 음식을 입 안 가득 넣으면 괜히 마음이 즐거워진다.

가족경영인 ‘솔래음’은 경북의 으뜸음식점으로 70평 규모로 큰 편이다. 테이블 20개, 단체손님을 위해 별도의 3개 독립공간이 있어 온화함을 한층 더 느낄 수 있다. 도심에서 먹는 음식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이곳만의 특별한 맛을 느끼는 것 또한 행복한 즐거움이다.

정 대표는 “자연과 인간이 살아 숨 쉬는 안락한 구조의 실내에서 감미로운 음악을 들을 수 있고 모든 기준을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연산 송이를 이용한 전골, 불고기, 갈비찜은 맛깔스런 재료를 이용한 소스는 그 맛이 환상이다. 특히 전골은 12가지 이상의 야채와 해물로 우려낸 시원한 육수에 갖은 양념이 어우러져 시원하고 깔끔한 맛을 낸다.

그 외에도 송이를 이용한 닭백숙, 닭도리탕, 돌솥밥, 칼국수, 해물콩뚝배기 등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메뉴들이 준비되어 있다. 자연산 송이의 향은 그 자체만으로도 일품이다.

한티재 하늘을 닮은 ‘솔래음’
주변 곳곳은 볼거리로 넘친다…

▲ 전골은 12가지 이상의 야채와 해물로 우려낸 시원한 육수에 갖은 양념이 어우러져 시원하고 깔끔한 맛을 낸다.

먹는 것이 다라면 굳이 이곳 까지 올 필요 가 있을까…
고개를 들어 주변을 둘러보자. 천년이 넘은 팔공산의 동화사를 비롯해 수십개의 사찰과 암자가 있다. 골짜기마다 암벽과 어우러진 울창한 숲은 장관이다. 특히, 삼종불을 모신 제2석굴암(삼존석굴)과 보각국사 일연선사가 삼국유사를 저술한 인각사가 팔공산 자락에 속해 있다.

60년대 말까지는 세인들의 눈에 띄지 않다가 70년대 초 학자들에 의해 경주 석굴암 보다 1세기 이상 일찍 창건된 것으로 그 모태임이 밝혀져 세계적 문화재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경북 영천, 경산, 군위, 칠곡 등 4개시ㆍ군과 대구시 동구와 연결된 팔공산도립공원 내 가산산성야영장은 전체가 자연휴양림이나 다를 바 없어 수려한 풍광을 자랑하는 곳으로 삼림욕장으로서 소문난 곳이다. 대운동장, 수영장, 캠프파이어장, 가족야영장, 야외무대, 체력단련실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어 1년 내내 개인 및 단체들이 찾는 곳이다. 이와 함께 공원 내에는 치산계곡, 공산폭포, 구름다리, 가산바위, 용바위, 가산산성 등산로 등이 있다.

또 조선시대 향교인 의흥향교, 경북기념물 제122호인 장사진의병장유적지, 거조암영산전, 관봉석조여래좌상, 선본사 삼층석탑이 있다. 이렇듯 팔공산의 아름다운 전경과 신선함을 굽이굽이 휘감아 돌다보면 도로의 굴곡을 따라 펼쳐지는 수려한 주변경관에 감탄과 탄성이 절로 나온다.
문의 ☎054-975-9246

▶메 뉴◀
ο 송이 갈비찜(小) -----------45,000원
ο 송이전골(小)---------------35,000원
ο 송이 닭백숙 ---------------50,000원
ο 송이 닭도리탕--------------50,000원
ο 버섯 돌솥밥----------------15,000원
ο 버섯 칼국수----------------10,000원
ο해물콩뚝배기-----------------8,000원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