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친박 “朴, 겨냥한 권력구조 개편이면 갈등 대폭발”
민주 “여권 개헌집착 MB 레임덕 막아보려는 의도”
여권발(發) '개헌론'이 여의도 각 정파의 이해와 맞물리면서 미묘한 국면을 맞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 수뇌부가 지난 23일 가진 만찬 회동에서 개헌에 관한 언급이 오간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권내 친이계(친이명박)계가 꾸준히 제기해온 개헌론에 이명박 대통령의 의중, 이른바 '이심'(李心)이 실린 것 아니냐는 일각의 관측이 나오면서다.
특히 이날 회동을 계기로 친이계, 이 중에서도 개헌론에 적극 불을 지펴온 친이재오계는 개헌의 공론화에 본격 시동을 거는 형국이다. 다음달 8∼10일로 연기된 한나라당 개헌 의총을 기점으로 개헌론을 달군 뒤 '개헌정국'을 본격화하겠다는 복안으로 보인다.
그러나 야당이 개헌을 "이미 물 건너간 사안"이라고 치부하며 논의 자체에 부정적 입장이고, 한나라당 친박계도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어 개헌론이 여권 내 '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날 공산이 적지 않다는 전망도 아울러 나온다.
특히 '박근혜'라는 유력한 대권예비주자를 가진 친박(친박근혜)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중도 인사들도 개헌의 배경에 의구심을 품으며 "줄 세우기가 아니냐"고 언급하는 등 '권력투쟁'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는 미묘한 분위기다.
아닌 게 아니라 정치권 일부 인사들은 이번 국면이 여권 계파간 갈등으로 비화할 소지가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만찬 회동에 참석한 한 친이 인사는 25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 대통령이 '세상이 바뀌었는데 헌법이 상황에 안 맞는다'며 당에서 개헌을 제대로 논의해 달라는 취지의 이야기를 했다"고 전했다.
또 그는 "대통령의 생각은 권력구조에 관해 당에서 많은 사람이 논의해 의견이 모아지면 그쪽으로 해달라는 취지였다"고 덧붙였다.
다른 친이 핵심인사도 "그동안은 마치 이재오 특임장관 혼자 개헌을 추진하는 것처럼 비쳐졌지만 이제는 대통령의 의중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동력이 붙을 것"이라며 "이제 개헌은 굴러갈 수 있는 어젠다가 됐다. 무조건 안 된다고 하면 언제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친이계 최대 모임인 '함께 내일로'의 대표인 안경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모임의 대부분 의원들이 개헌에 찬성한다"며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하는 것을 돕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중도 성향의 의원들은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 수뇌부의 회동 및 여기서 흘러나온 이 대통령의 '개헌 의중' 등에 대한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 최고위원은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개헌을 주문한 것이 아니라 원칙적인 말을 한 것으로 본다"며 "개헌을 꼭 하라기보다는 논의하려면 진정성 있게 하라는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인사는 "오히려 대통령의 개헌 언급은 개헌논의를 권력구조에만 국한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두언 최고위원도 "개헌 당론을 정하려면 의원총회를 열어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데 될 수가 없는 현실"이라며 "당내 개헌특위는 구성할 수 있다고 해도 개헌 내용의 당론 채택이 불가능할 것"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다른 한 중도인사는 "이재오 장관을 중심으로 한 개헌론이 결국 친이 구심점을 유지하기 위한 줄 세우기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있다"고 지적했다.
친박 진영은 촉각을 바짝 세웠다. 친박계는 당 개헌의총에 소극적이나마 참여할 의사를 갖고 있지만 분권형 대통령제를 향한 친이 주류의 `몰아가기식' 개헌 논의나 총선을 1년 앞둔 시점에서의 논의에는 반대하고 있다.
한 친박 의원은 "의도를 갖고 밀어붙인다면 빅뱅 수준에 이를 만큼 당내 갈등이 대폭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력 대권후보의 한명인 박근혜 전 대표를 겨냥한 권력구조 개편의 기미가 보이면 좌시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다른 친박계 중진 의원은 "국민 생활이 어려운 상황에서 들고 나오는 게 순수한 개헌 의지인가"라고 지적했고 다른 의원은 "급속한 개헌정국으로 간다고 본다. 당분간 시끄럽게 됐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여권발 개헌론에 "이에 계속 집착하는 것은 레임덕을 막아보려는 의도"라며 부정적 입장을 재확인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청와대는 개입하지 않는다고 하지 않았느냐"며 "한나라당은 야당을 자꾸 끌어들이려 하지 말고 먼저 통일된 안을 내놔봐라"고 말했다.
개헌 찬성론자로 국회 미래한국헌법연구회 공동대표인 이낙연 사무총장도 "18대 국회 내 개헌은 이미 물 건너갔다"고 단언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