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유가 등 국제원자재가격의 상승을 주된 물가 상승요인으로 지적하였다(66.8%). 정부는 올해 유가를 85달러 선으로 전망했으나, 글로벌 유동성 증가, 세계경기의 회복기대, 이집트 사태 등의 영향으로 현재 유가는 100달러선에 육박하고 있다(‘11.2.8, Dubai油 기준 96달러). 이외에도 과잉유동성(10%), 구제역·한파 등으로 인한 신선식품가격 상승(10%), 공산품가격 인상(6.6%), 공공요금 가격 인상(6.6%) 등을 물가상승 우려요인으로 꼽았다.
우리나라의 교역상대국 1위인 중국의 경제성장률에 대해서는 응답자 전원이 작년의 성장률 10.3%보다는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중국발 인플레이션(차이나플레이션)과 관련해서는 중국의 생산자물가 상승이 국내수입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늘어나거나 현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80%에 달했다.
한편 환율은 절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90%에 달했다(소폭 절상 81.5%, 대폭 절상 7.4%). 따라서 우리나라 수출제품의 가격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며, 이는 우리 수출 비중의 4분의 1에 달하는 중국의 경제 위축 전망과 함께, 올해 우리나라의 수출목표 달성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에 대해서는 응답자 전원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소폭 상승 67%, 대폭상승 33%), 주가는 3분의 2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소폭 상승 48.2%, 대폭상승 25.9%). 부동산 가격 역시 응답자의 70%가 작년에 비해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했다(소폭상승 59.3%, 대폭상승 11.1%).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