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건설 시공 라오스 댐 붕괴 '인재 vs 자연재해' 공방 ...SK "부실시공 아냐, 도의적 보상은 할 것"

채혜린 기자 / 기사승인 : 2019-05-31 11:45:42
  • -
  • +
  • 인쇄
라오스 정부, '인재' 결론...SK건설 "자연재해로 인한 불가항력" 반박

▲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이 댐 사고 대응 한국시민사회 TF 회원들이 지난해 9월 SK건설 본사 앞에서 

SK건설의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newsis)

 

[일요주간=채혜린 기자] SK건설이 라오스에서 시공 중이던 수력발전소의 보조댐 붕괴 원인을 두고 라오스 정부가 ‘부실시공’ 결론을 내린 가운데 SK건설은 라오스 정부의 발표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피력하면서도 도의적인 측면에서 보상을 해줄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SK건설 관계자는 지난 29일 <일요주간>과의 전화통화에서 “피해규모는 조사 중이고 원인은 나와 봐야 아는 것”이라면서도 “아직 구체적인 보상계획을 세운 것은 아니지만 (도의적인 측면에서) 해주긴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라오스의) 해당 지역이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냐”는 질문에는 “당연히 안다, 설계할 때 반영이 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7월 23일 붕괴된 문제의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의 수력발전소 보조댐은 당시 SK건설이 PNPC로부터 공사비 약 7500억원(SK건설 관계자는 달러로 받았다고 설명)을 받고 단독 도급을 받아 시공 중인 상태였다. SK건설은 2012년에 해당 사업을 수주하고 2019년 2월 발전소 상업가동을 목표로 2013년 11월부터 공사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PNPC는 한국의 서부발전, 태국 전력회사, 라오스 현지기업 그리고 SK건설이 합작해 만든 법인으로 다른 일반 해외건설사업과 달리 이 댐 건설은 한국 수출입은행의 대외협력기금(EDCF) 차관으로 진행된 민관협력사업(PPP)이었다. 

 

한국 정부가 수출입은행을 통해 자금을 지원했다는 뜻이다. 때문에 한국 정부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사고 직후 한국 정부 차원의 강력한 구호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지난 28일(현지시간) 라오스의 ‘독립전문가위원회(IEP)’의 조사결과 불가항력적인 사고로 볼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한마디로 인재(人災)라는 것이다. 

 

▲ 라오스 남동부 아타프 주에서 지난해 7월 24일 주민들이 전날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 댐이 붕괴해 홍수가 발생하자 배를 타고 안전지대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은 현지방송 아타프TV 동영상을 캡처.(사진=newsis)

이에 SK건설은 즉각 반박했다. 보조댐 붕괴사고가 나기 전 며칠 동안 집중 호우가 쏟아졌기 때문에 자연재해에 무게를 뒀다. 댐이 붕괴된 것이 아니라 이례적으로 많이 쏟아졌던 호우 때문에 강이 범람하면서 불가항력적으로 보조댐 상부가 유실됐다는 입장을 지난해 사고 이후부터 계속 고수하고 있는 셈이다. 또 라오스 정부가 발표한 원인 조사와 검증에 대해서도 객관성과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댐 공사를 예정보다 무려 4개월이나 앞당기면서 부실시공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실제 SK건설은 지난해 4월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소의 세남노이 댐 공사를 마치고 물을 채우는 임파운딩(Impounding) 기념행사를 개최하면서 당초 계획보다 4개월 앞서 댐 공사를 마무리하고 담수를 시작했다고 보도자료를 내며 홍보한 바 있다.

라오스 정부와 SK건설 간 완전히 상반된 입장차이로 사고 원인 규명을 놓고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