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광장 세종대왕 동상에 새겨진 '세종대왕'의 글씨체가 때 아닌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최근 인기리에 방영중인 SBS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서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과정이 흥미롭게 그려지면서 관심을 불러 모은 결과로 보여진다.
세종대왕 동상에 '세종대왕' 글씨를 오기라고 지적한 사람은 훈민정음 연구가인 대종언어연구소 박대종(47) 소장이다.
그는 19일 "세종대왕의 `종'과 `왕'자의 받침 동그라미에만 꼭지가 있는 옛이응(ㆁ)이 새겨져 있다“며 ”이는 옛날식도 현대식도 아닌 오기"라고 밝혔다.
박 소장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고전형 글자체를 쓴 것이라면 ‘왕’자의 종성뿐만 아니라 초성에도 옛이응을 써야하고 ‘세’는 ‘셰’로 ‘대’는 ‘때’로 새겨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니 오기라고 설명했다.
또 세종대왕 동상 뒤편에 있는 `정', `중', `통', `성' 등의 글자체에는 옛이응이 아닌 꼭지 없는 동그라미(ㅇ)가 쓰여있어 앞면의 `종'과 `왕'자의 옛이응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 관계자는 "동상을 세울 때 자문을 받아 일반 대중들에게 익숙한 서체로 썼다. 완벽하게 훈민정음 해례본과 같지는 않다"고 해명했다.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공감대 없고 혼동만 초래할 것 같다”, “학자들이 고안한 것보다 기업이나 개인들이 고안한 게 더 많다. 여지껏 그냥 팽겨치고 있지 않았나”, “그냥 옛스런 느낌의 글씨체 인 것 같은데... 왜 이제와서”, “동상 글씨보다 한글날을 기리는게 우선”이라며 뒤늦게 나온 지적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의견과 “그냥 현대체로 제대로 적어놓으면 될 것을”, “옛 느낌을 낸다고 하는 것도 변명이 되지 않는다. 언어나 문자는 보편성과 표준성 또한 지녀야한다”, “면밀한 검증 후 바로 잡았으면 좋겠다”, “틀렸으면 당연히 고쳐야 한다”라고 수정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쪽으로 나뉘어 설전을 벌이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