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금융위, 부실 저축은행 폭탄 돌리기를 중단해야”

이 원 / 기사승인 : 2012-06-13 22:26:36
  • -
  • +
  • 인쇄
저축은행 부실 시중은행에 전가…금융당국의 폭력적 관치일 뿐 [일요주간=이 원 기자] 금융위원회가 주요 금융지주사들에게 부실 저축은행 인수 요청을 놓고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가 반발하고 나섰다. 금융위의 이 같은 행위는 부실저축은행을 초래한 주체인 금융당국이 이를 시중은행에 전가시키려한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2차 부실저축은행 사태이후 금융위원회가 각 금융지주사 임원들과의 긴급면담을 통해 ‘저축은행인수’를 타진한 것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강제적 저축은행 인수를 신한금융지주를 비롯해 하나금융지주도 검토 중에 있다.

금융노조 김문호 위원장은 13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시중은행을 협박, 부실저축은행을 억지로 떠넘기는 행태는 시장질서에 철저히 반하는 것이자 저축은행 사태의 올바른 수습책이 될 수 없다”며 이는 정부가 앞장서 시중은행에게 배임을 강요한다는 측면에서 이는 ‘초법적 행위’와 다름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노조 측에 따르면 지난해 1차 저축은행 부실사태 발생 이후 주요 금융지주사 및 시중은행 등을 금융당국에 의한 강요를 받아왔다는 것.

하지만 억지로 떠넘긴 부실 저축은행 인수한 금융지주들은 올 1/4분기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금융저축은행만이 2억 원의 흑자를 냈을 뿐 KB저축은행은 40억 원, 신한저축은행 60억 원, 하나저축은행 317억 원의 적자 행진을 잇고 있다는 설명이다. 안타까운 것은 인수된 저축은행 조차 추가적인 부실자산이 발견돼 손실이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김 위원장은 “저축은행의 부실을 금융산업 전반으로 확대하는 초법적 폭탄 돌리기를 즉각 멈추어야한다”며 “시중은행을 마치 ‘아랫것들’ 대하는 금융당국의 폭력적인 관치야 말로 우리사회에서 추방해야할 구악적 행태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끝으로 그는 최근 유로존 재정위기를 몰고간 스페인 저축은행 부실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야한다고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남겼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