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주 주가 50% 이상 고평가, 허상에 불과하다”

이 원 / 기사승인 : 2012-06-20 12:06:34
  • -
  • +
  • 인쇄
금감원 131개 테마주 전수조사 결과, 실적과 관계없이 급등 지적 [일요주간=이 원 기자] “테마주 주가 50% 이상 고평가, 허상에 불과하다”

금융감독원(원장 권혁세)이 최근 각광받는 정치인 테마주가 일반주에 비해 50% 에 가까운 수치로 고평가돼 자칫 잘못하면 폭락세로 쪽박을 찰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6월부터 올 5월까지 주식시장에서 1년간 131개의 일명 ‘정치인 테마주’를 전수 조사해 이들의 주가흐름과 대주주 매도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테마주가 실적이 오히려 나쁠 수록 주가가 오르는 등 전형적인 주가조작 행태를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테마주 전체 시가총액은 지난 해 6월 초 19조8,000억 원에서 올 4월 34조3,000억 원까지 증가하며 외형을 부풀렸지만 불과 한 달여 만에 23조5,000억 원까지 줄어 무려 10조8,000억 원의 물량이 빠졌다.

또한 같은 기간 테마주는 일반주에 비해 평균 주가 상승률 차이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같은 기간 일반주는 5.0% 떨어진 반면 테마주는 42.6%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폭이 크다는 것은 폭락하는 폭도 클 수 있어 올 5월 평균 주가 상승률 차이는 46.9%까지 벌어져 이는 테마주의 급락 가능성이 높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이어 보고서는 테마주가 주가 급등 후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64개 종목에서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대주주 202명이 1억2,972만 주(6406억 원)의 주식을 팔아치운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대주주가 100억 원 어치 이상을 매도한 곳은 모두 17곳으로 이중 14곳은 주가 급등에 대한 입장을 정확히 밝히지 않고 이익을 챙겼다는 것.

금감원은 이렇듯 대주주가 주가 급등의 사유를 명확히 밝히지 않은 것은 도덕적 해이라고 지적하며 지난 5월 개설한 ‘테마주특별조사반’을 상설조직으로 변경, 테마주와 시세조정 세력 간 연계 여부를 집중적으로 조사중으로 1억 원의 신고 포상금까지 내걸었다.

금감원 정연수 부원장보는 “대다수의 테마주를 보유한 대주주가 보유주식 매도한 것은 도덕적 해이를 떠나 테마주 자체가 허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투자자들에게 테마주의 급락가능성을 경고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