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유통업계는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 및 코스트코는 전국 매장 370개 가운데 75%인 279개가 각 지자체가 시행하는 의무휴업 조치로 오는 24일(일요일) 일제히 휴무한다고 밝혔다. 과연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누구를 위한 조치인가 하는 데서 문제가 제기됐다.
![]() | ||
▲ 외국계 대형마트인 코스트코 역시 정부 시책에 따른 의무 휴무를 고객에게 공지했다. |
정부 정책에 따라 현재 대형마트와 SSM 점포의 70% 가 의무 휴무를 지키고 있다.
지난 4월 정책 시행기간인 4월 불과 30%의 점포가 의무 휴무를 한 결과 지난 해 동기대비 2.4% 의 매출 감소를 나타냈다. 5월에는 무려 5.7%까지 줄어들었다. 70% 까지 의무 휴무 점포를 확장한 6월 감소폭은 더 커질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주말 의무 휴무제 실시 이후 감소한 매출는 우리(대형마트)에 집중된 소비구매 구조를 중소상인 및 골목 상권으로 넓히겠다는 취지가 오히려 소비심리위축을 불러오고 있다” 며 “ 오히려 1차 생산업체인 농어민 뿐만아니라 2차 유통업체까지 의무휴무에 대한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여기에 최근 국회에서 여야 합동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 을 발의하면서 문제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여아가 내놓은 개정안에 따르면 현 대형마트와 SSM의 의무 휴무일수를 더 늘리고 영업시간은 줄이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대형마트에 개별 입점한 자영업자들도 피해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단지 입점한 곳이 대형마트 일뿐인데 가장 매출이 높은 일요일을 두 번이나 쉬면서 신선도 유지가 중요한 농축수산물 업자의 경우 폐기 처분까지해야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또한 대형마트의 경우 영업시간 제한에 따른 일자리 감소 우려가 결국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마트 관계자는 이미 신규 고용은 중단된 상태이며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의무 휴무가 있는 날이면 소비자들의 불만섞인 전화가 끊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대책 발표 이후 중소상인과 이른바 전통시장과 같은 골목상권은 의무 휴무를 확대한 5월 12.4%의 성장세를 보였다. 소상공인진흥원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5월 말 기준 대형마트와 SSM이 밀집한 지역의 골목상권 매출을 분석한 결과 상승세를 나타낸 것이다.
정부의 취지에 걸맞게 중소상인과 골목상권이 살아난 반면, 오히려 생산업체인 농축수산물업자와 2차 유통업자 등 자영업자들은 피해가 속출하는 실정이다. 게다가 주변 골목상권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 주민들은 편의점을 비싸게 이용해야하는 상황까지 벌어져 ‘주말 의무 휴무제’를 확대시키려는 정치권의 행태는 소비자와 유통업자를 모두 힘들게 할 뿐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