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주완빈(Chow Yuen Ping) 동아시아지부 선임 해양캠페이너는 ‘참치통조림의 숨겨진 비밀’ 보고서를 발표하고 국내 3대 참치통조림 브랜드의 파괴적 어업행위와 혼획문제 등을 문제점 등을 취합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사조와 오뚜기에 이어 동원이 최하위를 차지했다. 그린피스는 이번 순위를 바탕으로 한국의 참치통조림업체들의 어업방식을 개선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순위조사를 발표한 주완빈 캠페이너는 “한국 참치 통조림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동원은 해외 참치업체에 비해 지속가능성 분야에서 뒤쳐지고 있다” 며 “동원이 참치 통조림을 만드는 데 있어 발생하는 해양파괴를 소비자들이 이해한다면 구매를 재고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린피스는 지난 8월 국내 3대 참치 통조림 제조업체인 동원산업, 사조산업, 오뚜기에 각각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순위를 매겼다. 조사에서 동원은 최하위 등급인 ‘레드’를 받았고 사조와 오뚜기는 그 보다 한 단계 낮은 ‘오렌지’등급을 받았다.
동원이 받은 레드는 참치업체의 지속가능성을 제로로 판단한 등급이다. 지속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조·오뚜기의 오렌지 등급은 현재 지속가능성은 낮지만 향상에 여지를 두었다. 국내 브랜드 중에서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성이 높은’ 그린 등급을 받은 브랜드는 없었다.
그린피스의 판단 기준은 지속가능성, 이력추적 가능성, 합법성, 형평성, 투명성, 원료 구매정책 등을 평가하는 문항 등으로 동원은 설문 자체를 거부해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최하점을 매겼다.
국내 3대 업체 가운데 동일한 오렌지 등급이지만 더 높은 점수로 1위를 차지한 사조는 태평양 현지 어선과 통조림 업체로 부터 참치를 공급 받는다는 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원양어선들이 참치를 유인하기 위해 물에 띄워두는 집어장치를 사용하는 부분에서 점수를 잃었다.
오뚜기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적인 요소가 준비된 것이 없어 후한 점수를 받지 못했다.
그린피스는 한국 참치통조림업체가 현재와 같은 파괴적인 어업방식을 개선해야하는 동시에 집어 장치(FADs Fish Aggregation Devices)의 사용을 줄여야한다고 지적했다.
원양어선의 경우 집어장치를 띄워 참치와 같은 해양생물이 구획으로 몰려들면 포획하는 방식으로 조업이 이뤄진다. 집어 장치의 사용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한국 참치업체들이 집어장치의 사용을 하지 않고 조업을 잘하기 때문에 사용비율을 줄이는 등의 개선점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린피스 주완빈 캠페이너는 “이번 조사는 멸종위기종 포획·불법조업 등의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평가한 것으로 건강한 해양 생태계를 다음 세대에 물려주자는 의미를 담은 것”이라며 “한국 참치통조림 업계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