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노정금 기자]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24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16과 유신, 인혁당 사건 등 과거사에 대해 공식사과에 나섰다.
박 후보는 이날 “5·16, 유신, 인혁당 사건 등은 헌법가치가 훼손되고 대한민국의 정치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로 인해 상처와 피해를 입은 분들과 그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들께서 저에게 진정 원하시는 게 딸인 제가 아버지 무덤에 침을 뱉는 것을 원하시는 것은 아닐 것이라 생각한다. 저도 대통령을 아버지로 뒀기에 역사의 소용돌이를 피해갈 수 없었다”며 “5·16 이후 아버지께서는 다시는 나와 같은 불행한 군인이 없어야 한다고 하셨고 유신시대에 대해서는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고 까지 하셨다. 저는 아버지께서 후일 비난과 비판을 받을 것을 아셨지만, 반드시 국민을 잘살게 하고야 말겠다는 간절한 목표와 고뇌가 진심이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숙연하게 말을 이었다.
박 후보는 박 전 대통령의 국가에 대한 ‘충심(忠心)’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부분이지만,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없다’는 민주주의의 가치를 박 전 대통령이 훼손했다고 인정했다.
또한 “대통령을 아버지로 두었기에 역사의 소용돌이를 피해갈 수 없었다. 어머니, 아버지 두 분 모두를 흉탄에 보내드리고 개인적으로 절망의 바닥까지 내려가기도 했다”면서 “이제는 서로 존중하면서 힘을 합쳐 더 큰 국가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지난 과거사에 대해 “역사의 평가에 맡겨야 한다”고 했던 종전 입장을 바꾼 처세였다.
박 후보는 지난 7월 16일, 5·16에 대해 “돌아가신 아버지로서는 불가피하게 최선의 선택을 한 게 아닌가라고 생각한다”며 “5·16이 오늘의 한국이 있기까지 초석을 만들었다. 그래서 박 전 대통령이 바른 판단을 내렸다고 본다. 반대의견을 갖고 있는 분도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놓고 옳으니 그르니 하는 것보다 국민과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라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자신의 과거사 인식논란과 관련한 대응혼선, 측근비리 의혹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지지율 하락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공식사과를 해 일각에선 진정성 논란을 제기하기도 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박 후보가 자기 말을 아무렇게나 던지고 국면을 모면하기 위해 그러는 분이 아니다”며 “한 말씀을 해도 자기 마음에 올라오지 않은 이야기는 그 양반은 죽었다 깨나도 하지 않을 사람이다. 오늘 했던 한마디 한마디가 마음에 없는 이야기가 아니고, 앞으로 뒤엎을 그럴 이야기 아니다”고 강조했다.
박 후보는 10분간 준비된 회견문을 읽은 뒤 시간상의 이유로 질의 응답을 받지 않고 곧바로 당사를 떠났다.
그는 마지막으로 회견장을 떠나며 “이번 사과가 마지막 사과라고 보면 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오늘 제가 말씀드린 내용에 모든 것이 함축돼 있다. 저의 진심을 받아들여 주시면 좋겠다”고 진정성을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