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노정금 기자] 정수장학회 논란이 끊임없는 가운데 이번에는 MBC, 부산일보 지분 매각이 뜨거운 화두로 올라 왔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15일, “정수장학회 이사회에서 그렇게 결정했나보다. 저는 관계가 없다”는 입장에 여론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지난 8일, 민주통합당과 일부 언론 등은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이진숙 MBC 기획홍보본부장 등을 만나 내년 상반기 MBC 상장 계획, 정수장학회의 MBC 지분 30% 처분 방식, 정수장학회의 언론사 지분매각 입장 발표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15일 경남도당 대통령선대위 출범식 참석자리에서 “이 지역(부산경남) 발전을 위해 좋은 일을 하겠다는데 야당이나 저나 법인에 이래라 저래라 할 아무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이번 MBC, 부산일보 지분 매각에 대해 MBC 노조 관계자는 “정수장학회와 김재철 사장이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MBC를 민영화 시키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관계자는 “정수장학회가 가진 MBC 지분을 모두 매각하면 최소 300억원 이상이 될 것”이라며 “이 막대한 돈을 이번 대선의 격전지로 꼽히는 부산·경남지역의 복지사업에 쓴다는 것은 박근혜 후보에게 도움을 주는 선거운동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박 후보는 지난 1994년부터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 재직하다가 2005년 최필립씨에게 이사장직을 넘겨주고 물러난 상태다. 하지만 정수장학회는 故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인척과 측근 등을 중심으로 운영돼 왔다.
이 관계자는 “김재철 사장이 정수장학회와 손을 잡고 지분 매각을 통해 박 후보에게 줄서기를 하는 것”이라며 “이같은 행위는 MBC를 망가뜨리는 결정판”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공영방송 MBC가 지분매각을 통해 사기업이 되면 국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해야 하는 올바른 언론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며 “MBC 구성원의 목숨을 걸고 결사 반대하겠다”고 밝혔다.
민주통합당 문재인캠프 진성준 대변인은 15일 이와 관련해 “정수장학회 사건은 한 마디로 장물을 팔아 MBC를 민영화 시키고, 그 자금으로 박근혜 후보의 선거를 돕겠다는 불법행위다”라고 비난했다.
이어 “새누리당은 박근혜 후보와 정수장학회가 연관이 없다고 말하지만, 정수장학회는 5.16 장학회이고, 박근혜 후보는 지난 95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 재직했다”며 “박홍근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기간 동안 불법적으로 11억원이 넘는 돈을 지급받았다”고 말했다.
더불어 “남의 재산을 빼앗아 선거용 선심 사업을 하겠다는 것이 공익인지, 밀실협의로 공영방송을 민영화 시키겠다는 것이 공익인지 알 수가 없다”며 “‘공익’이 아니라, 박근혜 후보의 대통령 당선을 위한 ‘사익’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정수장학회는 지난 1962년 故김지태의 재산으로 만들어진 ‘부일장학회’로 시작된 장학회였다. 故김지태는 5.16 군사혁명 이듬해인 1962년 3월 재산해외도피 혐의 등으로 당시 중앙정보부에 체포돼 두 달 정도 구금생활을 하다 부일장학회와 부산일보, 한국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등의 운영권 포기각서를 쓴 며칠 뒤 공소취하로 풀려났다.
이것이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이 박정희 전 대통령 사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정’과 그의 부인 육영수의 ‘수’를 따와 1982년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정수장학회가 보유하고 있는 MBC와 부산일보 주식을 매각한다는 계획이 알려진 가운데 15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는 정수장학회 전신인 부일장학회 설립자 故김지태의 유가족이 기자회견을 열고 정수장학회 이사 전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