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선관위가 이번 18대 대선 투표 참여 의향을 묻는 질문에 유권자의 79.9%가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가능하면 투표할 것'이라는 소극적 투표의향층은 15.9%였고, 비투표 의향층은 3.7%로 나타났다. 적극적 투표 의향층은 60대 이상이 91.5%로 가장 높았고 50대 82.8%, 40대 78.3%, 30대 71.8%, 20대 이하가 74.5%로 집계됐다.
적극적 투표 의향층 비율은 지난 2007년 17대 대선 유권자 의식조사 결과(67.0%) 대비 13% 상승한 수치
로 16대 대선 당시 결과인 80.5%에 가까운 수치다. 이 가운데 이미 투표를 결정했다는 응답은 76.7%였고 이와 반대로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23.1%로 나타났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전 계층에서 투표의향이 높아진 가운데 특히 20대 이하(+22.9%P)와 30대(+14.9%P) 등 젊은 층에서 적극적인 투표 의사를 드러냈다.
또한 후보자를 선택하는 사항 가운데 인물 정책·공약을 고려한다는 응답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16대 29.0%→17대 38.8%→18대 48.7%) 있는 반면 인물·능력은 지속적으로 감소(16대 53.9%→17대 37.8%→18대 26.4%)하고 있다.
한편 후보자를 선택하는 데 필요한 정보 획득 경로에 대한 질문에는 'TV토론 및 방송연설'이 37.5%, 'TV·신문 등 언론보도'가 35.5%로 높게 나타났고, '인터넷·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20.4%로 그 뒤를 이었다. 그 밖에 '주변사람'은 3.7%, '정당과 후보자가 배포한 선거 홍보물'은 1.6%이었다. 인터넷과 SNS는 지난 17대 대선 당시 같은 기간의 조사 결과(4.9%) 대비 약 15%P 이상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중앙선관위가 코리아리서치센터에 의뢰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6~7일 이틀간 전화면접(휴대전화 50%, 집전화 50%)을 통해 실시했다. 응답률은 29.7%, 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서 ±2.5%P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