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당선인 2차 인선 각종 의혹에 ‘고심’…내각 구성 어쩌나

윤영석 / 기사승인 : 2013-02-14 17:10:59
  • -
  • +
  • 인쇄
[일요주간=윤영석 기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3일 발표한 6개 부처 장관 내정자들에 대해 재산과 병역 문제 등 각종 의혹이 불거져 내각 구성에 난항을 겪고 있다.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는 지난 1986년 배우자와 장남 명의로 경북 예천군 용문면 임야를 매입한 뒤 공직자 재산 신고 과정에서 재산 내역을 허위로 기재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김 내정자가 2008년 공직자 재산 신고를 할 당시 부인이 해당 임야를 소유했다고 신고했으나 등기부등본 상에는 부인과 장남이 임야를 절반씩 소유한 것으로 돼있기 때문. 이에 김 내정자가 고의로 장남 명의 부분을 누락해 허위 재산신고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또한 임야를 매입한 시기에 김 내정자의 장남인 태욱씨는 8살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어린 태욱씨가 임야를 매입하기 위한 돈을 마련할 수 있는 방법은 증여 밖에 없지만 증여세 납부 기록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 증여세 납부 회피에 대한 의혹도 나오고 있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내정자는 1980년 두드러기 질환인 ‘만성담마진’이라는 피부질환으로 5급 판정을 받아 병역이 면제된 것이 문제로 지적됐다.

또한 지난 2005년 서울중앙지검 2차장 재임 당시 맡았던 국정원-안기부 도청 사건에서 사건을 폭로했던 기자는 고소했으나 삼성측 인사들은 한 사람도 기소하지 않은 점이 밝혀지면서 ‘면죄부 수사’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 내정자는 참여정부 마지막에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거친 후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자리를 옮긴 점이 문제로 불거지고 있으며,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내정자는 지난 2012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후보자 당시 논란이 됐던 자녀 예금 증여세 회피 의혹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또한 서남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는 지난 2008년 교육부 차관으로 공직을 마감한 이후 2012년 경영부실대학 실사를 받았던 위덕대에 총장으로 부임한 점이 수상하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김용준 전 총리 후보자의 자진 사퇴와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의 위장전입 사실이 확인된 것에 이어 2차 인선 또한 각종 의혹이 불거지자 새 정부 내각의 도덕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후보자에 대한 충분한 검증을 하지 않았다는 ‘부실 검증’ 논란이 또 다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이에 대해 박 당선인 측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검증을 거쳤다”며 제기되는 의혹은 인사청문회나 다른 절차를 통해 본인들이 설명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