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사외이사 ‘거수기’ 여전..우리·농협·산은지주 부결건수 ‘全無’

이희원 / 기사승인 : 2013-10-17 02:02:25
  • -
  • +
  • 인쇄
송호창 의원 “경영진과 한패로 거수기 역할 놀이 심취..개선책 시급”
▲ 무소속 송호창 의원이 금융지주사 사외이사제도가 경영진과 한패가 되어 ‘거수기’ 역할 그쳤다고 지적했다. ⓒNewsis

[일요주간=이희원 기자] 신한·우리 등 금융지주사들의 유명무실한 사외이사제도가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경영진의 감시자 역할을 하는 사외이사들이 최근 4년간 부결건수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나 ‘거수기’ 역할만 했다는 지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송호창 의원(무소속, 의왕·과천)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지주사외이사회 현황자료’(2010~)에 따르면 2010년부터 현재까지 총 665건의 이사회 안건을 의결하면서 부결건수가 단 3건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자료는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 등 6대 금융지주회사가 그 대상이다.

이 가운데 우리·농협·산은지주 3곳은 사외이사들의 반대표결 자체가 전무했다. 뿐만 아니라 사외이사의 이사회 불참은 부지기수였다. 현 법무법인 광장의 변호사인 박용석 사외이사(농협)는 총 81건의 안건의결 가운데서 절반이 넘는 42건이나 불참했으나 포스코 이구택 상임고문(하나)도 21건의 안건의결에서 불참했다.

이는 결국 이사회에 참석해 경영진들의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하는 사외이사가 자신의 본분을 망각한 처사로 ‘거수기’역할만 해왔다는 게 송 의원의 주장이다.

▲ 2010년 이후 6대 금융지주사 이사회 현황<자료제공=송호창 의원실>

반면 ‘거수기’로 전락한 사외이사들이 금융지주사들로부터 받은 보수 총액은 무려 66억7,800만원으로 나타나 1인당 5,840만원의 보수를 꼬박꼬박 챙겨온 것으로 나타났다.

송 의원은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경영진의 감시자 역할을 하는 사외이사가 자신의 본분은 망각한 채 경영진과 한패가 되어 ‘거수기’열할 놀이에 열중하고 있다”면서 “이는 사외이사제도의 근간을 위협하는 것이기에 금융지주사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