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임산부 증가 추세, 산부인과 없는 지역 46곳...목숨 잃는 산모들 얼마나?

문경원 / 기사승인 : 2013-10-17 03:41:54
  • -
  • +
  • 인쇄
@Newsis
[일요주간=문경원 기자] 만혼으로 인한 고령 임산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이 수십 곳에 달해 산모들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이 매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희국 새누리당 (대구 중·남구)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임산부 현황자료에 따르면 2008년 전체 46만 5,900명의 산모 중 35세 이상의 고령 임산부는 임산부 전체의 14.3%인 6만 6,50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2년엔 전체 48만 4,600명 산모 중 35세 이상 고령임산부가 18.7%인 9만 500여명으로 집계돼 고령 임산부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이 전국 시·군·구에 46곳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35세 고령 임산부를 보면 제주도가 전체산모 6,000명 중 21.7%인 1,300명으로 고령임산부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이 9만 3,900명 중 21.7%인 2만 400명, 경기도가 12만 4,700명 중 19.6%인 2만 4,400명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노산 등으로 안한 고위험군에 포함된 산모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산모 사망자의 경우 지난 2009년 60명이던 통계가 2010년 74명, 2011년 81명, 2012년 48명으로 최근 4년간 263명의 산모가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미국 전문의 중 산부인과 전문의 비중은 2010년을 기준으로 4.2%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2년 현재 8.0%에 이르렀음에도 분만할 산부인과가 없는 시·군·구가 46곳이나 된다"면서 "지역적으로 산부인과가 편증 개설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 부분을 소위 공공의료 영역에서 담당해야 하는데 보건복지부의 노력이 허술하기 짝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산부인과가 없거나 분만실이 없는 산부인과를 개설하는 시·군·구에 분만실에 대한 수가를 차등 적용한다던가 다른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지원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고위험 산모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해 오는 2017년까지 17개 권역에 통합치료센터를 설치·운영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