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유-김찬경 MB정부 금융 카르텔 수사 탄력받나

박현군 / 기사승인 : 2013-12-03 05:02:33
  • -
  • +
  • 인쇄
외환노조, "김승유 전 하나은행 회장 배임 엄벌 받아야" [일요주간:=박현군 기자]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이 회장직에 있으면서 미래저축은행을 일방적으로 지원하며 회사에 막대한 손해를 끼치고도 회장직에서 물러날 때 규정에도 없는 거액의 퇴직금을 수령하는 등 배임행위를 저질렀다.”

▲ 외환노조가 김찬경 전 하나금융 회장의 엄벌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청와대에 제출햇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외환은행지부(이하 외환노조, 지부장 김기철)가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의 엄벌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3일 청와대에 제출했다.

외환노조가 주장하는 것은 김 전 회장의 배임 혐의는 이명박 전 대통령을 매개로 미래저축은행과 유착해 회사에 의도적 손해를 끼쳤다는 것, 규정에도 없었던 퇴직금을 35억 원이나 수령한 점, 그리고 회장직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고문이라는 직함으로 거액의 고문료를 꼬박꼬박 챙기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날 외환노조 관계자는 “2011년 9월 하나캐피탈은 투자가치가 전혀 없음을 알고도 김 전 회장의 강력한 지시에 따라 미래저축은행에 145억 원의 투자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또 정확하게 가치를 측정할 수도 없는 미술품들을 4,000점이나 구매토록 지시한 것도 사실상 배임 행위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외환노조측의 이같은 주장들은 이미 지난해 저축은행 관련 특검수사 과정에서 제기된 내용들이다.

당시 특검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은 이 전 대통령과 함께 고려대학교 3인방이라고 불리웠을 만큼 각별한 사이였다. 그리고 김 전 회장은 고려대학교 3인방의 또다른 한 사람인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으로부터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을 소개받았다.


이 후 미래저축은행이 부도 위기에 처하자 하나은행은 미래저축은행의 백기사 역할을 자임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당시 청와대 비서관의 개입 의혹이 불거져 나왔었다.


이와관련 외환노조 관계자는 “사법적 엄벌은 명확한 물증 확보와 재판절차 등 시간이 요한다고는 하지만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금융위원회 차원에서 엄벌이 가능한 만큼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하나금융지주는 “미래저축은행 사건은 지난 검찰조사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은 바 있으며, 고문료의 적정성 부분은 현재 금융감독당국의 검사를 받고 있는 사안이니만큼 결과를 두고봐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