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자원개발, 국민혈세 먹는 하마 전락하나...자본금 3조 증액 위기

라윤성 / 기사승인 : 2014-11-24 16:40:46
  • -
  • +
  • 인쇄
[일요주간=라윤성 기자] 국민혈세 낭비 논란에 휩싸인 MB정부의 해외자원개발이 결국 부분 자본잠식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주 20일 새정치민주연합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홍영표 의원은 광물자원공사가 1조 원 규모의 자본 증액을 국회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광물자원공사는 현재 2조 원의 자본금을 3조 원으로 증액하는 '한국광물자원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 통과를 국회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 18일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는 해당 법안을 처리하지 않았다.

광물자원공사는 공사의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 규모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올해 말에서 내년 상반기에는 광물자원공사의 부분 자본잠식이 시작될 것으로 예측된다는 게 홍 의원의 설명이다.

문제는 해외사업을 계속 진행중인 광물자원공사가 추가로 투입되는 비용이 1조 5,000억 원 이상이 남아있고 추진되고 있는 해외사업도 실적이 부진해 앞으로 매출을 개선할 가능성이 적은 점이다. 게다가 광물자원공사는 내년 한해동안 약 7,000억 원의 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광물자원공사의 주축사업인 멕시코 볼레오 동광 개발사업이 상업생산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고,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 사업과 호주 와이옹 유연탄광 개발사업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광물자원공사는 차입금을 늘려야하지만 재무건전성이 악화됨에 따라 차입조차 어려워졌다. 결과적으로 광물자원공사는 금리가 높은 국내 시중은행을 통한 차입으로 자금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금융비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홍 의원은 "광물자원공사는 부분 자본잠식의 진행과 부채의 지속적 증가로 내년 이후 부채 비율 등 재무건전성이 급속히 악화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밑빠진 광물공사에 국민혈세 퍼붓기를 하기 이전에, 해외자원개발사업 부실 규모와 책임소재가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