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영포라인' 유착 의혹 수사 확대...'MB실세' 개입 100억대 비자금 추가 포착

박은미 / 기사승인 : 2015-03-18 12:54:22
  • -
  • +
  • 인쇄
▲ 정준양 전 포스코그룹 회장 ⓒNewsis
[일요주간=박은미 기자] 포스코 잔혹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09년 정준양 전 포스코그룹 회장 취임 당시 포스코는 철강생산량 3,300만 톤, 매출 42조 원의 세계 1위 최우량기업이었다. 정 회장은 임기가 끝난 5년 뒤 포스코는 영업이익률이 17%에서 4%대로, 부채비율은 50에서 80%로 상승하며 부실기업으로 전락했다. 설상가상으로 임직원들의 비자금 조성, 각종 인수합병에 따른 부작용 및 비리의혹 등이 드러나며 서슬 퍼런 검찰의 칼날 앞에 놓여있다.

또한 검찰은 이 같은 정 전 회장의 방만경영에 이명박 정권 실세들인 이른바 ‘영포라인’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17일 추가로 포착된 100억 원대 비자금 조성에도 ‘영포라인’이 관여한 정황이 드러난 가운데 꾸준히 제기돼왔던 포스코와 ‘영포라인’의 유착 여부가 이번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 MB실세 ‘영포라인’ 정조준

포스코의 검찰수사가 ‘영포라인’까지 겨냥하는 모양새다. 검찰은 정준양 전 포스코그룹 회장이 단행한 포스코의 해외 자원 투자와 부실 계열사 인수 합병, 협력업체 선정 등에 ‘영포라인’의 개입이 있었는지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영포라인’의 핵심인 이명박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국회의원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등이 추진한 아프리카 철광석, 볼리비아 광산개발과 관련 포스코의 투자 배경에 외압이 있었는지에 대해 조사할 방침이다.

또한 정 전 회장 취임 시절 성진지오텍을 비롯해 포스코의 계열사가 수십 개 늘어난 점도 주목했다. 검찰은 부실 업체들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영포라인’에 대한 특혜가 오간 것 아닌지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포라인’이란 이명박 전 대통령과 같은 경북 영일∙포항지역 출신 인사를 뜻하는 표현이다. 이명박 정권의 지원을 등에 업은 특정 지역 인사들의 전횡을 일컫는 용어가 됐다.

지난 2009년 정 전 회장의 포스코 회장 취임 당시 재계에서는 정 전 회장이 이병박 정권 최고 실세로 불렸던 ‘영포라인’의 지원을 받아 포스코 수장에 오른 것으로 해석했다.

정 전 회장 취임 뒤 포스코는 계열사를 35개에서 무려 70개로 늘이며 몸집을 불리기 시작했다. 계열사 인수합병에 투자된 금액만 해도 5조 원대에 이른다.

사업 다각화 차원을 위한 확장이 표면적 명분이었지만 문제는 상당수의 인수합병 건이 ‘영포라인’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돼 있다는 점이다.

포스코는 지난 2010년 당시 부채비율이 1,600%에 달했던 부실기업 성진지오텍을 시세보다 2배 높은 가격에 매입해 계열사 포스코플랜텍과 합병시켰다. 합병 당시 업계에서는 성진지오텍 전 회장과 박 전 지식경제부 차관과의 친분을 인수합병의 배경으로 지목했다.

이후 3년 동안 포스코플렌텍은 2,900억 원대 적자를 냈다. 이로 인한 손실을 해결하기 위해 포스코는 포스코플랜텍에 2,9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기도 했다.

포스코가 대우인터내셔널을 인수한 과정도 수사 선상에 오를 것이란 관측이다.

포스코는 지난 2010년 해외 자원개발 전문업체인 대우인터내셔널을 인수하며 3조 4,000억 원을 투자했다.

포스코 인수합병 역사상 최대 금액이였던 대우인터내셔널 인수도 갑비싼 투자 사례다. 당시 포스코는 경쟁업체보다 2,000억 원이나 많은 금액을 쓰는 바람에 고가 매입 논란에 일었다.

이러한 대우인터내셔널 인수는 미얀마 가스전 개발 사업에 적극적이었던 박 전 지식경제부 차관의 입김 때문이라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포스코는 대우인터내셔널을 인수한 직후 이명박 정부의 자원개발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지만 아프리카 니켈광산 프로젝트 관련 수천억 원대 손실을 보는 등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상득 전 의원이 공을 들인 포스코의 볼리비아 리튬광산 개발 사업도 실패했다.

지난 2011년 8월 포스코는 볼리비아 리튬광산 개발에 볼리비아 국영 코미볼, 광물자원공사와 함께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2012년 6월 볼리비아가 자국 내 천연자원 사업 국유화를 선언하면서 사업 자체가 무산됐다.
▲ ⓒNewsis
비자금 100억 추가 포착, 이번에도 ‘영포라인’

포스코가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에서도 100억 원대에 이르는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현재까지 검찰이 밝혀낸 포스코의 비자금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 각각에서 100억 원대로 총 200억 원대에 이른다.

이번 사건의 관련 건설업체 대표 또한 ‘영포라인’과 친분이 있었다. 검찰은 비자금 가운데 일부가 포스코 최고위층 임원 측에 전달된 것으로 판단했으며 특히 관련 건설업체 대표가 정 전 회장과 가까운 사이인 점을 주목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가 3조 원을 들여 건설한 동남아시아 최초의 일관제철소인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타우-포스코 제철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국내 한 건설업체를 하청업체로 선정했다.

검찰은 이 건설업체가 용역비를 부풀려 100억 원대 비자금을 조성했으며 이 가운데 10억 원 가량을 포스코 최고위층 임원에게 전달한 것으로 보고있다.

영남 지역에 기반을 둔 해당 건설업체 대표는 포스코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 실세로 알려진 영포라인 인사들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안팎에서는 건설업체 대표가 이상득 전 의원에게 정 전 회장을 소개해주는 등 정 전 회장이 회장직에 오르는 과정에 핵심 역할을 한 인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정 전 회장 시절의 포스코가 수십 개의 계열사 인수와 잇따른 해외 투자로 그룹의 외형을 키운 만큼 투자 과정에서 비자금을 만들고 정재계에 전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