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선불폰' 거품빼자 점유율 50% 붕괴...특별퇴직 실시 시점 논란 '오비이락'?

박은미 / 기사승인 : 2015-03-26 15:57:54
  • -
  • +
  • 인쇄
▲ SK텔레콤 장동현 사장. ⓒNewsis
[일요주간=박은미 기자]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의 50% 점유율이 15년 만에 무너졌다.

KT와 LG유플러스의 점유율은 상승한 반면 SK텔레콤은 전달 대비 1.27% 감소해 50%대 아래로 내려앉았다. SK텔레콤만 유독 가입자가 줄어든 것은 지난해 11월 대규모 명의도용 개통 사건 이후 불법 대포폰과 미사용 선불폰 정리 작업을 벌여왔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SK텔레콤이 파격적인 조건으로 ‘특별퇴직 신청’을 실시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SK텔레콤은 구조조정과 무관하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일부 직원이 퇴직 신청을 강요받았다는 불만을 제기하며 잡음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점유율 붕괴 및 경영악화에 시달리는 SK텔레콤이 ‘특별퇴직’을 가장한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거품 빠지자, 점유율 50% 철옹성 붕괴

25일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2015년 2월 무선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SK텔레콤의 가입자 수(알뜰폰 포함)는 2,835만 6,564명으로 전달 대비 1.27%(36만 5,019명)p 감소했다.

이에 따라 시장점유율도 50.01%에서 49.60%로 내려앉았다.

SK텔레콤은 지난 1월까지만 해도 50.5% 점유율(2,872만 1,583명)을 유지했으나 2월에만 36만 5,019명 가입자가 빠져나가면서 점유율이 급락했다.

반면 2월 KT(1,743만 2,306명)와 LG유플러스(1,138만 1,348명)의 점유율은 전달보다 각각 0.21%P, 0.19%P씩 증가했다.

SK텔레콤의 시장점유율이 50%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02년 신세기통신을 인수한 이래 처음으로 이 수치가 무너지면 사실상 경영 실패의 위기에 직면하는 셈이다.

SK텔레콤은 지난 6개월간 전국 유통망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해 장기 미사용 선불 이동전화 45만회선을 자체 해지하는 등 가입자 거품을 걷어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불법 대포폰 개통’ 사건으로 불거진 불량회선 지적에 따른 후속조치로 풀이된다.

지난해 11월 SK텔레콤은 고객 15만 명의 개인정보로 무단으로 사용해 불법 대포폰 개통하다 적발됐다.

SK텔레콤은 2010년 1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이용정지 상태인 선불폰에 임의로 선불요금을 충전, 가입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15만 명의 고객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가입 회선수를 늘리기 위해 대리점에 대리점 법인 명의로 38만대의 선불폰을 전산상으로만 개통하도록 지시했다.

당시 검찰은 “SK텔레콤 측이 가입자 수를 유지하는 등 부정한 이익을 얻기 위해 고객의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당시 이 사건으로 ‘점유율 거품 논란’이 확산되며 점유율 50%의 수치가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었다.

특별퇴직 가장 구조조정?

SK텔레콤이 단행한 ‘특별퇴직 신청’을 두고 직원들이 불만을 제기하는 등 잡음이 일고 있다.

SK텔레콤이 기본급의 최대 80개월치를 위로금으로 지급하는 특별퇴직 신청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직원들이 퇴직 신청을 강요받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

SK텔레콤은 특별퇴직은 전적으로 직원의 자발적 의사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구조조정과 무관하다고 거듭 강조했지만 일부 직원들은 희망퇴직을 가장한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 것이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특별퇴직 제도는 매년 시행되고 있는 제도지만 올해는 신청 요건을 완화하고 파격적인 위로금을 제시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퇴직비는 기본급의 60개월 분에서 80개월 분으로 늘어났고 대상자 조건은 45세 이상의 10년 이상 근속자이며 나이와 무관하게 15년 이상 근속자로 확대됐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대규모 적자로 명예퇴직을 단행한 KT에 이어 SK텔레콤도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 것 아니냐는 주장을 내놨다. 점유율 하락과 영업이익 감소에 따른 극약처방이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

실제로 지난 4분기 SK텔레콤의 영업이익(4,901억 원)은 전년 동기 대비 8.7% 줄었고 전체 영업이익도 2013년 대비 9.2% 감소했다.

퇴직 신청 면담을 권유받았다는 직원들이 속출하며 내부적인 불만 또한 터져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성과가 부진하했던 일부 부서에 대해에서는 수백명 가령의 퇴직 신청 할당 지시가 내려와 대상이 아닌 직원들까지 면담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SK텔레콤 관계자는 “특별퇴직은 지난 2006년부터 10년째 매년 3월이 되면 정기적으로 시행하던 것으로 강제적인 구조조정이 아닌 희망퇴직을 접수받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청 조건이 까다롭다는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올해는 요건을 완화하고 넉넉한 위로금을 제시했다”며 “그만큼 특별퇴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부 직원들 사이에서 다양한 주장들이 나오고 있는 거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퇴직을 희망하는 직원들에 한해 면담을 진행하고 있을 뿐 할당인원을 지시해 퇴직을 종용하고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무근이다”고 재차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