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이재윤 기자] 미투(#Me Too, 나도 당했다) 운동이 대학가에도 번진 가운데 이번엔 경북 포항의 포스텍(포항공대)에서 폭로가 나와 파장이 커지고 있다.
지난 26일 포스텍 교내 통신망에는 자신이 이 학교의 대학 교수라고 밝힌 A(여)씨가 ‘저는 당신의 접대부가 아닌 직장 동료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해당 글은 A씨가 동료 교수와 고위 공직자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는 내용이었다.
A씨는 “지난 2015년 동료 B교수에게서 ‘정말 만나기 어려운 정치적 권력을 가진 분이 포항에 왔으니 예쁘게 하고 저녁식사 자리에 오라’는 전화를 받았다”면서 “그날따라 쉬고 싶었지만 네트워킹을 게을리하면 안 되는 처지라 지친 몸을 이끌고 식당에 갔다”고 말했다.
이어 “B교수가 말했던 분은 고위 공무원 C씨였다”면서 “C씨는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만한 정치인에게 전화를 걸어 저를 바꿔줬고 이후 폭탄주를 몇 잔 돌려마셨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글에 따르면 B교수는 A씨에게 ‘예쁘게 하고 오라니까 왜 이러고 왔냐’ ‘평소에는 안 그러더니 촌스럽게 치마가 이게 뭐냐’는 비하 발언을 하기도 했다.
A씨는 이후 식사를 마치고 학교로 이동하는 도중 성추행 시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A씨는 “택시를 타고 국제관으로 오는데 C씨가 갑자기 제 손을 잡고 주물럭거렸고, 그동안 사회생활하며 남자들의 이 정도 추행을 별 놀라운 일이 아니어서 ‘또 시작이구나’ 싶었다”며 “손을 빼려고 하자 C씨의 손이 제 손을 따라 제 허벅지 부위로 왔는데, 마침 목적지에 도착해 더 이상 추행은 피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또 A씨는 다음날 두 사람에게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하려 했으나 C씨에게 ‘주말에 서울에 오면 단둘이 만나서 저녁 식사를 하자’는 메신저를 받았고, 이를 거절한 뒤 B교수에게 전화를 걸어 화를 냈다. 그러자 B교수는 “자기가 대신 사과한다”며 “알아서 책임지고 처리하겠다”고 했지만, B교수와 C씨 그들에게서는 어떠한 사과도 없었다.
이에 A씨는 “얼마 전 그 둘의 사과문을 일주일 내 보내줄 것을 요청했지만 아직까지 사과를 받지 못했다”며 “최근 불어닥친 미투 운동을 볼 때마다 당시 기억이 떠올라 수면장애와 만성위장병에 시달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그는 “내가 우습게 보일만큼 잘못 행동했는지 반문하면서, 비전임 교수라서 그런가 하는 심한 자괴감마저 든다”며 “B교수를 비롯해 저를 동료 교수가 아닌 성적 대상으로 보거나 고용 불안정을 악용해 선심쓰는 척 하면서 무료봉사를 시키는 등 사적 이익을 취하려는 분들에게 ‘저는 당신의 접대부가 아닌 직장 동료다’고 말하고 싶다”고 글을 쓴 이유를 밝혔다.
이와 관련 포스텍 측은 “익명의 제보는 대응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즉시 조사에 들어가 진상을 규명할 것”이라는 방침이다.
한편 포스텍에서 과거 일어났던 성과 관련된 사건이 최근 재조명되면서 성범죄 행위에 대한 경각심이 일고 있다. 포스텍 등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성희롱, 성폭력 등 성범죄 관련 사건은 총 12건에 달한다.
지난해 2월에는 모 학과 MT에서 성폭행 사건이 발생한 바 있으며, 같은해 4월 성폭행 사건으로 조사받던 한 대학원생이 자살하기도 했다. 또 11월 단톡방 성희롱 사건, 12월 성기노출 사건 등으로 경찰 조사가 이뤄졌다. 그러나 포스텍은 당시 사태 확인에 힘쓰는 대신 사건 축소 및 은폐를 시도한 것으로 드러나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이와 관련 포스텍 관계자는 27일 <일요주간>과의 통화에서 “2017년 12월부로 학생들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등 규정을 명문화 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이 관계자는 “2차가해나 피해자 케어에 대한 부분을 규정에 명문화했다”면서 “이런 규정 자체를 명문화시키는 사례가 기관에서는 잘 없다고 들었다”고 강조했다.
또 포스텍은 OT나 MT의 경우도 이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교직원 등 보호자가 반드시 동행하도록 변경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