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로봇사업 협동조합 유학현 이사장 |
[일요주간 = 김쌍주 대기자] 정부와 부산시가 로봇산업육성에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가운데 부산시가 해운대구 반여동과 반송동, 석대동 일대 190만㎡ 약 58만평 규모에 1조 6천억 원을 들여 제2센텀 산업단지를 조성, 로봇산업협동화단지를 비롯해 정보통신기술과 융합부품소재 등 첨단ICT 허브밸리와 청년지식창업지구로의 조성계획을 추진 중에 있었으나 국토부가 그린벨트를 해제하지 않아 중단됐었다.
이에 부산로봇사업협동조합(이사장 유학현, SJ하이텍 대표)에서 현재 추진 중인 부산 제2센텀 산업단지 내에 로봇 융·복합클러스터를 구축, 부산지역 산업전반을 활성화시키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로봇집적화단지 조성사업이 국토부가 그린벨트를 해제하지 않고 있어 관련사업도 함께 중단된 상태이다.
부산시가 당초 2018년까지 그린벨트해제, 기타 승인과정을 마친 뒤 2019년부터 보상, 단계별 공사발주로 착공에 들어가 2022년 말에 제2센텀 산업단지개발사업을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국토부에서 그린벨트를 해제하지 않고 있어 부산 제2센텀 산업단지 내 부산로봇산업협동화단지 조성사업 역시 부산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의 핵심사업에 포함됐으나 차질을 빚고 있다.
이와 관련 부산로봇사업협동조합은 새로운 각오로 단지조성사업을 재개할 목적으로 올해 유학현 이사장을 새로이 선출하고 이사진을 6명에서 9명으로 늘리는 한편, 정관도 변경하고 제2센텀 산업단지가 위치한 해운대구에 조합사무실을 새로 마련하는 등 조직 체제정비작업을 완료하고, 부산로봇산업계 숙원사업인 부산로봇산업협동화단지 조성사업을 재추진 중에 있다.
부산로봇사업협동조합은 로봇집적화단지 조성과 단지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산업용로봇장비를 비롯한 부품, 디자인, SW 등 다양한 로봇산업분야의 중소·중견기업, 대학, 기관 등 30곳이 모여 결성한 단체로 “부산시가 약속한대로 5만평을 제공하면 조합과 기업이 책임지고 국내 최고 로봇 융·복합 전문단지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만큼 문제는 국토부의 그린벨트해제가 관건이라며 정부의 조속한 그린벨트해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 |
현재 우리 산업현장은 물론 생활 속에는 로봇이 깊숙이 자리를 잡으면서 로봇산업에도 다품종 소량생산시대가 열리고 있다. 국가의 로봇산업경쟁력은 결국 우수한 로봇전문중소·중견기업들의 경쟁력이 어느 정도냐에 달려있기 때문에 소재부품은 물론 설계, 디자인, SW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전문기업을 조속히 육성·발전시켜야 한다.
부산로봇사업협동조합 유학현 이사장은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민간기업들이 부산로봇사업협동조합을 결성해 주도하는 사업”이라며 “부산로봇사업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전문단지를 조성하면 참여기업에 책임감을 부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로봇집적화단지 조성은 물론 발전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로봇협동화단지는 부산로봇산업계가 10년 이상을 공들여 추진해 온 숙원사업”이라면서 “조합원의 뜻과 힘을 모아 그린벨트해제를 이뤄내고 단지 조성까지 성공리에 마무리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로봇사업협동조합은 지역구 국회의원과 협력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지역로봇산업 활성화를 위한 그린벨트해제를 촉구하는 등 물밑작업도 진행 중이다. 아울러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재호 의원과 간담회를 열어 로봇협동화단지 조성을 위한 의견을 교환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한 바 있다. 또 시민단체와 지자체, 로봇 산·학·연 관계자를 대상으로 공청회를 마련해 지역발전차원에서 ‘부산 제2센텀 산업단지 그린벨트해제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한편, 부산로봇사업협동조합은 기업자율을 선도하는 차원에서 부산 제2센텀 산업단지 내에 SPC스템스가 주도하는 민간로봇연구소 건립 계획은 물론 과감한 투자로 로봇집적화단지에 민간연구소를 만들어 단지 발전을 견인하고 로봇산업계와 시민이 원하는 로봇제품을 개발, 상용화해나갈 수 있도록 국토부의 그린벨트해제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