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오디션 프로그램이나 예능에서도 김광석의 이름을 심심치 않게 들어 볼 수 있다.
김광석 그는 대한민국 대중음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을까. 그리고 그를 기억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김광석의 노래는 요즘 노래들과 큰 차이점을 보인다. 화려한 퍼포먼스와 볼거리가 난무해진 현 대중음악과 달리 그는 통기타와 하모니카만 가지고 노래했고, 자신의 이야기를 노래했다.
순수성을 잃어가는 요즘 시대에 김광석의 노래가 시간이 지날수록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이 아닐까.
어느덧 김광석이 우리 곁을 떠난 지 무려 20년이 됐다. 하지만 아직도 그의 노래는 살아있고 듣는 이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고 있다.
뮤지컬 <그날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빛나는 김광석의 주옥같은 노래들로 메시지를 가슴깊이 전달하고 있다.
뮤지컬 <그날들>은 2012년 정학이 청와대 경호부장으로 복무 중인 시점부터 전개된다. 한중수교 20주년 기념행사 중 대통령의 막내딸이 경호원과 함께 사라지게 된 사건이 발생한다.
20년 전인 1992년에 사라진 경호원 무영과 통역사 여인의 실종 사건이 현재의 사건과 평행이론을 이루면서 정학은 대통령의 막내딸의 행방을 찾으며 정학과 경호원 동기였던 무영과 통역사 여인의 비밀을 풀어나간다.

뮤지컬 <그날들>은 주크박스 뮤지컬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기존에 있던 히트곡을 나열해서 만들기 때문에 자칫 음악보다 스토리가 빈약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장유정 연출가는 드라마의 사실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있었던 1992년에 있었던 한중수교라는 근현대사 사건을 가지고 왔다. 그리고 상상력을 덧붙여 ‘청와대 비사’를 만들어 냈다.
화려한 배우들의 아크로바틱, 특공무술은 실제 경호원들의 연습을 보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화려하다. 무대 전환 또한 매끄럽고 3D 영상을 사용해서 관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 또한 즐겁다.
하지만 김광석의 노래를 생각하고 온 관객들에게는 실망을 줄 수 있다. 원곡에 감겨진 서정적인 느낌은 극 안에서는 쉽게 지나치기 때문이다.
뮤지컬<그날들> 안에 깃든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목숨을 마치는 순고(純固)한 사랑도 무영과 정학의 우정도 감동적이지만 원곡에 대한 그리움을 쫓아 극장을 찾은 관객들에게는 아쉬움이 남는 작품이다.
하지만 창작 뮤지컬 초연작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장유정 연출가의 식상하지 않는 플롯의 구조와 사실적 사건을 기반으로 디테일을 높인 극은 ‘김광석 노래’를 라이브로 연주하는 오케스트라의 음악적 힘과 배합되어 더욱 큰 힘을 발휘한다.
오는 6월30일까지 대학로 뮤지컬센터.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