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예술통신 |
[일요주간=배한성 예술 칼럼니스트] 작가 류은자는 물질적 차원을 넘어서 자연과 존재들이 이루어내는 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아름다운 한국의 자연들은 민족의 삶의 터전으로 기준점을 갖고 있으며 풍수사상의 영향이기도 하지만 산과 물이 좋고 삶의 터전에서 신명난 출발을 의도하는 희망을 그리고 있다.
한국의 정기를 잇게 해주고 있는 금강산 전도와 설악의 추정의 아름다움은 전형적인 한국의 젖줄이다. 그가 표현한 산정의 조형적 가치는 고립되고 물질에 찌들어가는 울타리를 벗겨 버리고자 하는 마력을 가진 자연주의이다.
스피디한 필력과 어우러진 산자락들은 강한 악센트와 생략성이 보여주고 있는 주목성으로 작품의 생명력을 갖게 한다.
시냇가에 뛰어노는 천진난만한 동심에서 작금에 왕래하게 된 금강산까지의 통로는 민족상혼을 느끼게 하는 한민족의 애환을 달래주기도 한다.
이러한 자연의 예찬들은 민족의 정기로 이어져 삶의 터전의 동맥을 이루고 있으며 유은자 작품의 연작 속에서 인간들이 만들어내는 만물의 샘이기도 하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이 만들어낸 현대물질 만능주의는 그의 독자적 표현어법으로 해독 포용하여 관조자들에게 접근하고 있으며 이것은 우리의 자연이며 삶의 현장이다.
작품 ‘금강산의 꿈’은 기암절벽의 오묘함을 연출한 작품으로 화면의 변화를 잘 유도하고 있는 수작이다. 시점의 응시와 확산성은 금강산의 신비를 유도한 그의 표현의 의지이고 청명한 계류의 물은 오염되지 않은 우리의 마지막 청정지역이다.
작가 류은자는 문화를 통한 민족의 아픔을 달래기 위한 내면세계를 담고 있는 작가이다. 이것들은 작품으로 나타나 필요 충분한 인간, 산, 어촌 등의 자연들로 우주의 구조를 이룬 만연이고 표현에서 얻어낸 쾌거는 모성애와 같은 전율이 흐르고 있는 그자체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류은자는 한국의 자연의 친화를 예술적 표현으로 시대를 초월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가 자연을 이해 한다는 것도 그것이 현실적으로 인간의 마음을 동요하고 있기 때문에 위대성을 갖게 하고 있다.
특히 류은자의 작품은 우리민족이 늘 살아 숨 쉬는 생활터전에서 찾아볼수 있는 사실성 회화의지이다.
작품들 가운데 금강산은 연 초 그가 스케치 여행을 다녀오면서 비경의 경탄을 표현해왔고 만물상의 아름다움과 개골산의 창조적 운치를 마치 신들린 작가처럼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어 작품의 조형적 이념을 갖게 하고 있다.
이렇게 색채와 감성이 어우러져 엮어낸 절경들은 금빛의 찬란한 영롱함으로 자유분방한 여유를 갖고 있으며 크고 작은 붓 터치는 자연을 낳는 신비로움과 함께 경위 적이다.
따라서 그의 자연예찬들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잃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한번쯤 자연 속에서 자아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기대하고자 한다.
@예술통신
![]() | ||
▲ @예술통신 |
![]() | ||
▲ @예술통신 |
![]() | ||
▲ @예술통신 |
![]() | ||
▲ @예술통신 |
![]() | ||
▲ @예술통신 |
PROFILE
류은자
1958년 경기도 안성生
이화여자대학교. 프랑스 파리 7대학 수료(1989)
◎ 초대개인전
1889 예원화랑초대 개인전
1995 송파문화원, 한국복지재단자선전
1997 연세대학교 100주년기념관 기획전
1999 조형갤러리기획 중견작가초대전
2002 스톤밸리미술관 개관기념 초대전
2003 서울시 공무원 교육원 전시관 초대전
2004 경향신문사 갤러리 개관기념 초대전
2011 서울 윤당갤러리 초대전 수상 및 초대전 다수 100여회
◎ 해외초대전
1982 프랑스 Le Saion전
1989 유럽7개국 스케치 (프랑스, 독일, 스위스, 이태리, 네덜란드, 영국 등)
1995 이태리 Le Biennaie Venezia
1996 스페인 Art Contemporaneo90 Exposicion
1999 Fll-Korean modern art'sExhaibition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