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소정현 편집인 |
[일요주간 = 소정현 편집인]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6월 10일 공식 출범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중앙위원회를 열고 4선 우상호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대위 구성에 대한 인준안 투표 결과, 투표자 452명 중 92.7%(419명) 찬성으로 의결했다고 발표했다. ‘윤호중·박지현 비대위’가 6·1 지방선거 참패 책임을 지고 이튿날 총사퇴한 지 8일 만이다.
우상호의원이 주도하는 비대위는 비대위원으로 3선 대표 한정애 의원, 재선 대표 박재호 의원, 초선 대표 이용우 의원이 포함됐다. 원외 대표로는 김현정 평택을 지역위원장이, 당연직으로는 박홍근 원내대표가 구성됐다. 당 안팎에서는 비교적 중립적인 인사들로 인선되었다는 평가이다. 더욱이 우상호 의원은 중진으로 신망이 높을 뿐 아니라 계파 색이 상당히 옅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번 출범한 새비대위는 8월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까지 두 달여간 임시 지도부 역할을 맡으면서 어수선한 당 수습·쇄신에 주력할 방침이다. 전당대회를 준비·관리하는 역할을 기본으로 하며, 대선·지방선거 패배 평가를 거쳐 당 혁신 작업까지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민주당 혁신형 비상대책위원회의 최대 과제는 ‘계파 갈등’ 조정이다. 선거 패배 평가뿐 아니라 전당대회 준비도 계파 간 이해관계가 충돌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우상호 비대위의 성공은 8월 전당대회를 연착륙시키는 것이다.
바로 그것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10, 일반당원 5로 구성된 전대 투표 반영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간 대의원의 투표 반영 비율이 높다보니 그로 인해 계파 갈등의 복병이라는 지적이다. 문제는 대의원 투표 반영 비율을 낮출 경우, 어떤 계층의 투표 반영 비율을 높일 것이 관건이다.
친명계는 권리당원 표 반영 비율을 상승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아예 권리당원 50 국민여론조사 50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래야만 당심과 민심이 일치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문계 인사들은 사실상 대의원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룰 변경’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처럼, 8월 전당대회는 이재명의원의 당대표 출마여부가 예민하게 연결되어 있다. 최근 여론조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당대표 출마와 관련해 민주당 지지층 상당수는 찬성하지만 전체 유권자 과반은 반대하지만 결과가 나왔다. 이른바 민심과 당심의 괴리가 부각된 것이다.
여기에서 특히 룰 변경 여부는 2024년 총선 공천권을 누가 갖느냐는 것에 직결된다. 그때까지 전국단위 선거가 없기 때문에 8월 전대에서 당대표가 누가 되든 총선 공천권을 거뭐쥐게 된다. 특히 반명계 입장에서는 이재명의원이 당 대표가 된다는 것은 두려운 일이 될 수밖에 없다. 대폭적인 물갈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특히 금번 6.1 지방선거에서 4년 전 151곳에서 이번 63곳으로 급감한 기초단체장 선거 결과를 지역구에서 목도한 국회의원들은 2년 후 자신의 총선이 위태로워졌음을 노심초사 좌불안석이다. 특히 민주당 텃밭 광주에서 지방선거 역대 최저 투표율 37.7%가 나온 것은 민주당이 혁신하지 못하고 대선 패배를 제대로 치유하지 못했다는 냉정한 경고이다.
“새로운 개혁과 쇄신과 혁신에 대한 관점과 미래의 비전이 없는 자들이 당권투쟁을 목숨 걸고 뛰어드는 이유는 공천 때문”이라는 뼈아픈 지적은 절대 예사롭게 넘길 일이 아니다. 이에 민주당이 대대적인 혁신으로 국민 신뢰를 회복하려면 “대의원제와 중앙위원회와 같은 기존 기득권부터 해체되어야 한다”는 통렬한 지적이다.
또한 6.1 지선 패배의 한 축인 당내 분열과 갈등 대신 화합과 치유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 역시 이번 비대위가 필사적으로 풀어야할 숙제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