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씨, 20년 간 업무로 휴대전화 쓴 시간 440~1800시간으로 조사돼"
[일요주간=채혜린 기자] 휴대전화 전자파 등 작업환경과 뇌종양(교모세포종)의 관련성을 인정한 산업재해 결정이 내려져 주목된다.
10일
숨진 직원은 KT에서 약 22년 간 유선전화 통신선을 보수하는 업무를 하면서 통신선 주변에서 극저주파 전자기장에 노출됐고 업무 지시 또한 휴대전화로 주로 받았다.
![]() |
▲휴대전화 전자파와 유해물질에 장기간에 노출된 근로자가 뇌종양으로 사망한 것과 관련해 산업재해가 처음으로 인정됐다. |
공단 측은 이씨가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라디오파와 극저주파에 노출됐으며 밀폐된 지하 작업으로도 라돈 등 유해물질에 노출돼 뇌종양 발병과 상당한 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역학조사를 벌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도 이씨가 1997년 이후 휴대전화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상당량의 휴대전화 라디오파에 노출됐을 것으로 봤다. 이씨가 20년 간 업무로 휴대전화를 쓴 시간은 440~1800시간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이씨의 경우 통신선 주변의 극저주파 전자기장과 라돈 등 유해물질에 노출된데다 과도하게 휴대전화를 사용한 복합적인 환경이 뇌종양 발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공단이 인정한 만큼 동일한 작업환경에서 일하는 통신 근로자들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