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공공부문 취업 지원 누리집인 워크넷에서 2016년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검색어를 분석한 결과, 기술 발전과 구인·구직 시장의 변화에 따라 검색어 순위도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새로운 기술로 볼 수 있는 드론은 2016년 614위로 순위가 높지 않았으나 2017년 202위, 2018년 71위에 이어 올해 1~3월 47위까지 올라갔다.
![]() |
▲ 육군 중앙수사단 지구수사대 현장 감식 수사관이 수사용 드론을 운용하고 있다.(사진=육군 제공) |
반대로 ‘속기사’는 2016년 236위에서 2017년 330위, 2018년 606위, 2019년 1~3월 698위로 낮아지고 있다.
온라인을 이용한 구인·구직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전체적인 검색 건수는 2017년 766만 건, 2018년 898만 건, 2019년 1~3월 398만 건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취업성공패키지, 사회복지사, 직업상담사 등이 상위 10개 검색어에 포함됐다. 경비원, 영양사, 간호조무사, 시설관리도 순위에 다소 변동이 있었지만, 꾸준히 많이 검색됐다.
2016년 검색어 순위 2~4위였던 ‘직업선호도검사’, ‘이력서’, ‘실업급여’ 등은 2017년 이후에는 10위 밖으로 밀려났다.
지난 3년간 검색된 핵심어를 분석한 결과 가장 인기가 많은 검색어는 ‘청년내일채움공제’였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16년 1월 이후 66만 번 검색됐다.
이어 ‘취업성공패키지’(59만7000번), ‘사회복지사’(48만6000번), ‘직업상담사’(42만번), ‘경비원’(24만3000번), ‘영양사’(23만1000번), ‘간호조무사’ (20만번) 순이다.
직무능력과 관련해서는 지게차(23만1000번), 전기(21만번), 시설관리(18만7000번), 용접(11만9000번), MCT(11만8000번) 등이 많이 검색됐다.
김영중 고용서비스정책관은 “구직자들이 워크넷에서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려면 검색어 분석과 같은 기본적인 작업부터 충실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또 검색어 분석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일자리 추천 결과 분석, 구인구직 결과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자연어 처리기술을 활용한 비정형 자료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고용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