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채혜린 기자] 정부가 국가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와 관련해 시행 초기 단계부터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스마트시티, 사물인터넷(loT),
빅데이터, 시행사, 지자체, 정보보호 분야 관련 산·학·연· 전문가 10인 내외로 구성한 민
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난달 30일 용산에서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 |
▲ 지난 3월 28일 세종시 LH홍보관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세종추진단 개소식 장면. |
과기정통부는 스마트시티 정책추진 초기단계부터 보안위협에 대한 사전적 예방을
논의하기 위해 ‘부산 스마트시티 정보보호 민관합동 TF’를 구성했다고 전했다.
국토교통부는 앞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사업으로 부산과 세종을 선정했다. 스마트
시티는 8대 혁신성장 분야로 5G+ 전략 중 5대 융합서비스의 대표적인 분야다.
오용수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정책관은 이번 첫 회의에 참석해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
기술(ICT)을 이용해 교통, 주거, 안전, 에너지 등 도시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의 기능과
효율을 극대화한 편리한 곳이지만 늘어나는 사물인터넷(loT) 기기는 그만큼 보안 위협이
큰 분야”라고 강조했다.
오 정책관은 이어 “스마트시티 보안내재화 사업은 과기정통부만의 노력으로 이루어
질 수 없으며 민·관의 지혜와 역량을 한데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자문위원들에
게 보안강화를 위한 현장감 넘치는 의견 제시와 적극적인 정책 제안을 요청했다.
황종성 부산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래너(MP)는 스마트시티 인프라 보안뿐만 아니라 데
이터의 보호, 수집·활용등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도시별 보안가이드 마련, 보안 테스트
베드 그리고 통합관제센터 구축 등 종합적인 접근과 자문을 요청했다.
과기정통부는 “이 날 회의는 첫 회의인 만큼 앞으로 스마트시티의 기획·설계단계부
터 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sign)를 추진할 방향 등에 대해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설명을 듣고 전문위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설명했
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향후 ‘스마트시티 정보보호 민관합동 TF’를 스마트시티별 시행계
획, 추진사업 등에 맞춰 자문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