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LTE 연동 기술 특허출원 24건→165건 ↑…"R&D·특허출원 더 활발해질 것"

하수은 기자 / 기사승인 : 2019-04-08 11:35:04
  • -
  • +
  • 인쇄

[일요주간 = 하수은 기자]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5G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통신 생태계가 다시 한 번의 변혁기를 맞이하게 됐다. 현재 국내 모든 지역에 5G망이 구축되지 않았지만, 해당 지역은 LTE망을 이용해 5G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를 실현시켜 준 5G-LTE 연동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최근 몇 년간 급증했다.
 
8일 특허청에 따르면 5G-LTE 연동 기술 관련 출원은 5G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화 작업이 시작된 시점인 2016년 24건 이후 2017년 165건으로 늘어났다.
 
특허청 관계자는 “이는 5G 전국망 구축에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5G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LTE로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연동 기술이 5G 표준 논의 초기에 급부상한 상황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 국내 5G-LTE 연동 기술 특허출원 현황(2016~2018년)

이에 따라 국내외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이 LTE와 연동될 수 있는 5G 장비를 선호하면서 장비 제조사들도 2026년 기준 최대 1조1588억 달러로 예상되는 5G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5G-LTE 연동 기술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특허청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출원 건수가 87건으로 다소 감소했으나 이는 해외에서 출원된 건 중 많은 건이 아직 국내단계로 진입하지 않았거나 출원 후 미공개건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2018년까지의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이 75.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외국기업과 연구소 비율은 각각 12.3%, 9.4%였고, 중소기업의 비율은 2.9%에 불과했다.
 
특허청 관계자는 “5G 기술 특성상 중소기업이나 개인이 쉽게 출원하기 어렵지만, 국내 대기업들은 국제 표준화 회의에서 논의된 5G-LTE 연동 기술을 적극적으로 권리화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세부 기술별 출원 동향을 보면 5G 기지국과 LTE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이중 연결 기술이 178건이 출원됐다. 5G와 LTE가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하기 위한 공존 기술(coexistence)은 98건이 출원됐다.
 
이 가운데 연결과 공존 기술은 기존 LTE 장비 및 주파수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5G 초기 투자 부담이 줄어들고, 단말의 전송 속도도 증가해 5G의 확산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성중 특허청 통신네트워크심사팀장은 “5G-LTE 연동 기술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투자 부담을 감소하는 동시에 5G 가입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중요하다”며 “5G와 LTE가 향후 수년간 공존할 수밖에 없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과 특허출원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